빛을 흡수해 자가충전하는 기술의 절반은 완성, 양극 개발 단계만 남아 자가충전 기술은 음극에 감광성 염료를 더해 빛 에너지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방식이다. / 사진 : LINO DE VALLIER-XINHUA-NEWSIS스마트폰을 이용하면 더 효율적이고 지식이 많아지고 관계망이 넓어진다. 하지만 걱정거리도 늘어난다. 배터리가 간당간당하거나 꺼지는 상황을 겪은 사람은 공감할 터다.
과학자들이 이제 이 현대의 스트레스를 과거지사로 만들고자 한다. 그들은 자가충전 기술을 개발해 언젠가는 스마트폰에 통합할 수 있다고 믿는다.
캐나다 맥길대학 연구팀과 전력회사 하이드로 퀘벡의 연구소가 개발한 이 자기충전 리튬이온 배터리 구상은 4월 초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됐다.
맥길대학 광업·소재공학과장인 조지 데모풀로스 교수는 보도자료에서 이렇게 말했다. “요즘 스마트폰은 사실상 사무실을 통째로 그 안에 담아 휴대할 수 있다. 갖가지 앱이 깔려 그것을 매일 사용하려면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데 때로는 충전할 전원 플러그가 없는 곳이 많다.”
이 기술은 음극에 감광성 염료를 더해 빛 에너지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방식이다. 음극은 전력망으로부터 전력이 스마트폰으로 전달되는 부위다.
다음으로 적절한 양극을 개발하는 단계를 거치면 이 기술이 휴대전화에 통합될 수 있다. 양극은 휴대전화의 에너지를 저장·배출하는 배터리 단말기다. 여기에 성공하면 세계 최초 자가충전 리튬이온 배터리가 탄생한다.
데모풀로스 교수는 “개발의 절반은 끝났다”며 덧붙였다. “빛을 흡수하는 전극은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나머지 저장·배출하는 단계를 완성하면 그 갭을 메우고 이 새로운 광충전 배터리 개념의 가능성을 입증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의 2단계를 완성하기까지는 ‘수 년’이 걸릴 전망이다. 데모풀로스 교수는 이 프로젝트를 징검다리 삼아 자가충전 기술이 언젠가 스마트폰과 기타 휴대형 단말기에 통합되는 날이 오리라 기대한다.
- 앤서니 커스버트슨 뉴스위크 기자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역대급 실적' SK하이닉스, 상반기 PI 성과급 150% 지급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국주, 日서 호화 생활? "나이에 맞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갑질논란'에 무너진 '현역불패 신화'…검증 부담 커진 당정(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송현인베, IBK 출신 김영규 대표 내정…'혼돈기' 끝내고 재정비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에이프릴바이오, 하반기 SAFA 경쟁력 검증…추가 기술수출 이어지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