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ck Report
[체크리포트] '싹수가 노랗네'…1020 보험사기 '껑충'
-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액, 인원 역대 최대
10~20대, 보험사기 비중 18.8%로 상승 추세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금액과 인원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10~20대의 보험사기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사기범 10명 중 2명은 평범한 회사원이었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0년 보험사기 적발 현황 및 향후 계획’에 따르면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금액은 8986억원, 적발인원은 9만8826명으로 전년 대비 각각 2.0%(117억원), 6.8%(6288명) 증가했다.
보험사기 적발금액과 인원은 역대 최대였지만 적발된 보험사기 금액의 증가폭은 전년 대비 8.4%포인트 감소했다. 사고보험금 대비 보험사기 적발 비중도 줄었다.
연령별로는 50대의 적발 비중이 24.9%로 가장 높았다. 특히 10~20대의 보험사기가 급증했다. 지난해 10~20대의 보험사기 적발인원은 1만8619명을 기록했다. 보험사기 비중도 2018년(16.4%) 대비 지난해 18.8%로 상승했다. 전 연령대에서 2018년 대비 보험사기 비중이 증가한 세대는 10~20대와 60대 이상 뿐이다.
성별로는 남성이 67.9%(6만7137명), 여성은 32.1%(3만1689명)였는데 남성의 자동차 보험사기 적발인원이 4.15배 높은데 기인한 것이다. 보험 종목별로는 손해보험을 이용한 사기가 91.1%(8025억원), 생명보험은 8.9%(785억원)으로 집계됐다.
보험사기 적발자의 직업은 회사원(19.4%), 전업주부(10.8%), 무직·일용직(10.5%), 학생(4.7%) 등의 순이었다. 보험설계사, 의료인, 자동차정비업자 등 관련 전문종사자 비중은 3.6%(3490명) 수준이었다.
금감원은 “브로커 등의 유혹에 의해 허위진단, 자동차 고의사고 등에 가담하면 보험사기에 연루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삼양식품, 주가 130만원도 비싸지 않은 이유[주톡피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결혼' 민아 "정말 뜨거웠다"…예비신랑 정체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속보]SKT “대리점, 영업정지기간 예상 판매 건당 15만원 보상”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금융자산·차입금 정보 깜깜…“공시보고 투자 판단 가능하겠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AI 피부암 재생치료 임상 성공' 로킷헬스케어 ↑…'매각설' 압타머사이언스 ↓[바...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