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소 기반 탄소중립연료(e-Fuel) 개발 지원
내연기관 유지와 정부 탄소중립 이해관계 일치

정부가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어 ‘꿈의 가솔린’으로 불리는 탄소중립연료(e-Fuel) 개발에 손을 보탠다. 정부는 현대자동차를 필두로 한 완성차업체와 국내 정유사 간 e-Fuel 개발 동맹에 900억원 규모 연구개발비를 쏟기로 했다. e-Fuel은 전기분해로 얻어진 수소(그린수소)에 이산화탄소를 합성해 만든 연료로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받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열린 ‘e-Fuel 연구회’ 2차 회의에서 2022년까지 e-Fuel 생산 기술개발에 총 877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물을 전기분해해 얻는 그린수소 기술 개발에 72억원을 투입한다. 또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기술개발에 720억원, 수소의 메탄화 공정기술 개발에 84억원이 각각 책정됐다.
내연기관차 기반의 사업구조 유지를 원하는 국내 기업들과 탄소중립을 목표한 정부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다는 분석이다. e-Fuel이 화석연료를 대체할 경우 현대차는 이산화탄소 다배출로 퇴출 위기에 몰린 내연기관차 생산을 계속할 수 있고, 정유사는 연료 판매 사업을 지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e-Fuel로 수송 부문 탄소 배출량 축소를 기대하고 있다.
실제 지난 4월 발족한 e-Fuel 연구회에 현대자동차와 함께 SK에너지·현대오일뱅크·GS칼텍스·에쓰오일 등 정유사가 모두 참여하고 있다. 여기에 산업통상자원부와 카이스트·서울대 등 학계, 산업연구원·에너지경제연구원 등 연구계가 힘을 보태는 구조다. 강경성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e-Fuel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이루는 수단이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는 이날 연구회에서 e-Fuel 실현을 위한 핵심과제인 이산화탄소(CO2) 포집 방안과 e-Fuel 생산 경제성 확보 전략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e-Fuel이 수소와 이산화탄소의 결합인 만큼 연소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의 소량 배출이 불거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현대차 등과 이산화탄소를 대기 배출 없이 바로 포집하는 기술개발 방안 등을 논의했다.
정부는 또 가솔린과 에탄올을 합성한 대체연료 개발 등 기술 고도화와 차량 적용을 위한 기술개발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강경성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은 향후 30년간 추진해야 하는 고난도 장기과제”라면서 “전기차‧수소차 확산 노력과 함께 다양한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우리 자동차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유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독일과 일본 등에서도 e-Fuel 기술 개발을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독일은 완성차가 스스로 2022년 e-Fuel 대량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2050년까지 경제성 확보가 목표다.
배동주 기자 bae.dongju@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의대생 전원 학교 복귀 선언…의정갈등 종지부 찍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서현불패' 겸손 발언! "아직 부족하다" 까닭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창업 뛰어든 청년 사장님, 5년도 안 돼 무너졌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형인우 대표, "엔솔바이오 디스크치료제 美 임상3상 청신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