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우정본부 vs 택배노조 갈등…택배기사 수익 감소 가능성도

우정본부 "개인별 분류방침 세워 부담 완화" 약속
이후 "분류비 포함 사실 노조도 알았다" 주장
업계 경쟁심화로 하락한 수익 채우려 택배비 인상
택배 갈등 결과는 소비자 부담 가중으로 이어져

'택배종사자 과로사 대책을 위한 사회적 합의기구'에서 합의안이 도출되지 못하고 최종 결렬되자 택배노조는 6월 9일부터 2100여명 규모로 총파업에 돌입했다. [연합뉴스]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과 우정사업본부의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노조 측은 우정사업본부가 분류작업을 개별 노동자에게 전가하지 않기로 한 사회적 합의 기구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며 14일 서울 여의도 포스트타워 점거 농성에 들어갔다. 반면 우정사업본부 측은 이런 사실에 대해 “지난해 3월부터 택배노조와 6차례 회의하며 배달수수료 개편(안)에 대해 설명했고, ‘소포위탁 배달수수료 산정 연구’용역 결과 책자도 전달”했다고 밝혔다.  
 
우정사업본부가 택배노조와 협의 했던 약속의 핵심 내용은 ‘개인별 분류’ 작업이다. 지금까지는 택배 배달원들이 자신이 배달할 물건을 직접 분류한 뒤 배송했다면, 이후 개인별로 나눠 놓은 물량을 그대로 받아 차에 싣고 배달하게 하는 것이다.
 

실제 지난 6월 4일 우정사업본부는 “소포위탁 배달원(우체국 택배 배달원)의 분류작업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개인별 분류를 기본 방침으로 세우고 계획을 수립‧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 “개인별 분류가 시행되면 소포위탁배달원은 근로시간이 1시간 이상 단축될 전망”이라며 “개인별 분류 시행 시까지는 적정 수수료를 지급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사회적 합의 기구 권고에 따라 소포 요금을 인상할 계획”이라고도 했었다. 
 
그런데 노조 측 주장에 따르면 우정사업본부가 최근 이런 약속을 뒤집었다는 것이다. 진경호 택배노조 위원장은 “최근 (우정사업본부가) 지금까지 분류 비용을 수수료에 포함해 지급해왔다는 황당한 주장을 하며 갑자기 말을 바꿨다”며 “택배 노동자들이 매달 받아보는 수수료 지급 명세 그 어디에도 분류 비용 명세는 찾아볼 수 없는데도 본부는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우정사업본부 측은 [이코노미스트]와의 통화에서 “지난해부터 이미 여러 차례 연구 용역 내용을 바탕으로 이런 내용을 공유했다. 노조 측이 몰랐다고 하는 태도를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우정사업본부 측이 발표한 소포위탁배달 배달수수료 산정 연구 내용 일부를 보면 전국 단일 수수료는 1197원(부가세 포함)으로 산정돼 있다. 이 가운데 분류작업에 할애한 비용은 물건 한 통당 201원(부가세 포함)으로 나와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또 다른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우정사업본부의 말대로 향후 개인별 분류 작업이 본격화할 경우 택배 배달원에게 돌아갈 수익이 더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분류 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된 택배배달원들은 택배 물량 한 건당 201원의 수수료를 깎을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개인별 분류로 택배 배달원들의 ‘일’적인 부담은 줄일 수 있지만, 수익도 줄어들 가능성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우정사업본부 관계자는 “이 부분은 합의기구 결정 사안이 나온 뒤 결정 할 수 있는 문제”라며 “당장 답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전국택배노동조합 소속 우체국택배 노동자들이 점거농성을 벌이고 있는 서울 여의도 포스트타워 1층 로비에서 조합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연합뉴스]

치킨게임 늪에 빠진 택배업체들 결국 택배비 인상

 
문제는 택배노조 파업과 관련해 해결의 실마리가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택배 노동자들의 과중한 업무 문제 해결과 수익 보전을 위해선 택배비 인상이 불가피한데, 택배비를 내리며 외형 성장에 치중한 택배 회사는 자금을 투입할 여력이 없다는 것이다.
 
지난 3월 삼정KPMG는 ‘국내 택배 산업 해법 찾기’ 보고서를 통해 국내 택배 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했지만, 수익성은 오히려 나빠졌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기준 국내 택배 시장 규모는 3조 9800억원, 2018년에는 5조 6700억원을 기록했다. 연평균 8.2% 성장한 셈이다. 그런데 같은 기간 국내 주요 택배 기업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8.6%에서 0.5%까지 떨어졌다. 국내 택배 시장 평균 단가는 2011년 2534원에서 2018년 2229원으로 하락세를 기록했다.
 
결국 택배 회사들은 비용 인상안을 내놓고 있다. 지난 3월 롯데글로벌로지스는 개인 고객 택배비를 1000원씩 올렸다. 한진은 4월부터 개인 고객 기준 택배비를 최대 2000원 인상했다. 같은 달 CJ대한통운도 소형 택배비를 250원 인상한 바 있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권한대행마저 탄핵 가결...경제계 "불확실성 커져"

2매일유업, 이인기·곽정우 대표 신규 선임...3인 대표 체제로

3취미도 온라인으로...여가활동 만족도 8년만 최고

4FBI, 3년 전 "코로나19, 실험실서 만들어져" 결론 내려

5민주당 "최상목, 속죄하는 마음으로 직무 임해야"

62025년 가장 여행 가고 싶은 국가 1위는 '일본'

7투자자 45% 올해 암호화폐 첫 투자...가장 많이 산 코인은

8최상목 권한대행 "국정 혼란 최소화해야...안정에 최선"

9청도군, '청년성장-직장적응' 성과 평가 최우수등급

실시간 뉴스

1권한대행마저 탄핵 가결...경제계 "불확실성 커져"

2매일유업, 이인기·곽정우 대표 신규 선임...3인 대표 체제로

3취미도 온라인으로...여가활동 만족도 8년만 최고

4FBI, 3년 전 "코로나19, 실험실서 만들어져" 결론 내려

5민주당 "최상목, 속죄하는 마음으로 직무 임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