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기술표준원 중심으로 완성차업체, 부품업체 등 참여
전고체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에 대한 표준도 개발 계획

6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 엘타워에서 국가기술표준원을 축으로 한 ‘전기차 표준화 포럼’을 발족, 창립총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창립총회에는 현대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한국GM 등 국내 완성차업체는 물론 부품업체, 충전업체,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전력 등이 참석했다.
이상훈 국가기술표준원 원장은 “표준이 전기차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면서 “산학연 전문가들이 함께 기술을 선제적으로 표준에 반영, 주도권을 확보하려 한다”고 말했다. 표준화 포럼은 충전기, 무선 충전, 전기 이륜차, 배터리, 차량 등 5개 분과로 구성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우선 포럼을 통한 전기차 초고속 충전 관련 표준 마련을 예고했다. 향후 본격 보급될 출력 400㎾(킬로와트)급 초급속 충전기는 공기 순환형 냉각인 ‘공랭식’이 아닌 액체를 활용한 ‘수랭식’ 냉각 기술이 적용, 새로운 기술표준과 안전기준이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운영사업자별로 다르게 적용해온 충전기 통신규약도 표준화해 충전 인프라의 호환성도 높일 계획이다. 또한 전기차와 전력망을 양방향으로 연결해 전기차를 에너지저장시스템(ESS)으로 활용하기 위한 표준개발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주차와 동시에 충전이 가능하고 주행 중에도 충전이 가능한 무선 충전 기술의 국제표준도 선점할 계획이다. 한국은 무선충전 핵심기술 3종의 국제표준안을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 제안했으며, 2024년까지 국제표준 제정을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다.
아울러 전고체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에 대한 표준도 선제적으로 개발할 방침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배터리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해질이 고체로 된 2차 전지로, 대용량 구현이 가능하고 발화 가능성이 작아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다. 이 원장은 “핵심기술의 국제표준을 선점해 전기차 산업 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배동주 기자 bae.dongju@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1300억 신규 매출 예상 유바이오로직스, 성장 키워드 ‘수직 계열화’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팜이데일리
'LA 이적' 손흥민, SNS서 토트넘 지워…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반도체 제품에 100% 관세 예고…삼성·SK하이닉스 영향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애경산업 이달 본입찰…‘큰손’ 태광산업에 쏠리는 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대규모 기술수출에도 주가 원점 바이오벤처들…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