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파장④] 세계 각국에서도 “인상 vs 부작용” 논란
코로나 피해 지원 소득양극화 보완 위해 인상 움직임
미국 최저임금 인상, 반대에 부딪히자 대통령이 시행
스위스, 주민 투표에 부쳐 최저시급제 처음 도입해
“최저임금 인상은 실업 문제 악화 우려” 목소리도

내년도 최저임금을 9160원(시간당)으로 올해보다 440원(약 5.046%) 올린 최저임금위원회의 결정에 경영계와 노동계는 모두 반발하고 있다. 경영계는 “코로나 사태 속에서 중소·영세기업과 소상공인의 지불능력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 우려했다. 노동계는 “저임금 근로자들의 사회안전망 확보가 무산됐다”며 문 정부의 1만원 초과 공약이 ‘희망 고문’이었다며 질타했다.
최저임금을 둘러싼 논쟁은 비단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도 펼쳐지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로 인해 심화된 양극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최저임금 인상을 주도하는 모양새다. 근로자의 소득 증대에 기초한 소비 진작으로 침체된 내수를 끌어올리겠단 전략이지만, 반론도 만만찮다.
13일 황선자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부원장의 ‘소득불평등과 최저임금정책’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연방정부는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한 경기부양정책 일환으로 연방 최저임금인상을 추진했다.
미국·유럽·영국·네덜란드 등 주요국 일제히 인상
미국 플로리다주 의회에서도 지난해 11월 8.56달러이었던 최저 시급을 2026년까지 15달러(약 1만7000원)까지 올리는 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힘입어 델라웨어·캘리포니아·코네티컷·매사추세츠·뉴저지 등 다른 미국 주들도 최저임금을 2025년까지 15달러 수준까지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유럽연합(EU)도 최저임금 인상에 적극적이다. EU 집행위는 지난해 10월 EU 내 최저임금제 도입 방침을 발표했으며, 회원국 중 중위임금의 60%를 최저임금 하한선으로 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영국은 지난 4월에 최저임금을 시간당 8.72파운드에서 8.91파운드(약 1만4000원)로 약 2.2% 인상했다. 독일도 지난해 9.35유로였던 최저임금을 내년 7월까지 10.45유로(1만4307원)로 인상하기로 했다.
뉴질랜드는 올해 최저임금을 20달러(1만6060원)로 지난해보다 약 5.8% 올렸다. 스위스에서도 지난해 10월 주민투표를 통해 최저임금을 처음 도입, 최저시급 23스위스프랑(약 2만8681원)으로 정했다.
지난해 최저임금을 1엔(약 10원) 올린 것에 그쳤던 일본도 전국 평균 시급 1000엔(1만원)을 목표로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6월 일본 전국 평균 시급은 902엔(약 9173원)이고 최저임금이 가장 높은 도시는 도쿄로 1013엔(약 1만170원)이었다.
“기업 설비 자동화 부추겨 일자리 감소 악화 우려”
대통령이 주도적으로 최저임금을 인상한 미국에서도 일각에선 우려의 목소리를 표출하고 있다. 최저임금 인상이 기업의 생산설비 자동화 증대를 부추겨 근로자 실업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란 지적이다. 미국 의회예산국은 “연방 최저임금을 2025년까지 15달러로 인상하면 140만명의 실업자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을 정도다.
김하늬 기자 kim.honey@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6“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7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8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9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