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SK아이이테크놀로지, 폴란드 분리막 공장 본격 가동

“2024년까지 2조원 투자해 15억4000만㎡ 생산 능력 확보”

노재석 SK아이이테크놀로지 사장이 6일(현지시간) 폴란드 실롱스크주에 위치한 제1공장 준공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의 소재사업 자회사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가 6일(현지시간) 유럽 첫 생산 거점인 폴란드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분리막(이하 분리막) 공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주요 전기자동차 시장 중 하나인 유럽에서 최초로 연산 3억4000만㎡ 규모의 분리막 생산 기지를 구축한 것이다. 이는 연간 30만대 이상의 전기차에 탑재 가능한 물량이다.  
 
약 21개월간의 공사를 마치고 완공된 SKIET의 폴란드 제1공장은 지난 6월 기계적 준공에 이어 8월 테스트 가동에 돌입했으며, 오는 4분기에 상업 가동을 시작한다. 노재석 SKIET 사장은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재료인 분리막을 SKIET가 최초로 유럽 폴란드 공장에서 생산함에 따라 회사의 성장과 더불어 유럽의 전기차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폴란드 내에 있는 배터리업체뿐 아니라 헝가리를 비롯한 유럽 및 미국에 공급해 폴란드 지역 경제 발전에 보탬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SKIET는 폴란드 실롱스크주에 2024년까지 총 2조원을 투자해 유럽 내 최대 규모인 15억4000만㎡의 분리막 생산 능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테스트 가동 중인 제1공장을 비롯해 연산 3억4000만㎡ 규모의 제2공장은 2023년 상업 가동을 목표로 건설 중이다. 각각 4억3000만㎡ 규모의 제3‧4공장도 지난 7월 착공에 돌입했다. 이들 공장이 완공되면 SKIET의 전 세계 분리막 생산 규모는 총 27억3000만㎡에 달할 전망이다.  
 
강력한 친환경 정책을 추진 중인 유럽은 미국과 중국 등과 함께 전 세계 전기차 3대 시장으로 꼽힌다. 시장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유럽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올해 82기가와트시에서 2026년 5배 이상 증가한 약 410기가와트시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 시장 성장에 맞춰 배터리 분리막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SKIET 측은 “고밀도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동시에 배터리 안정성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고품질 분리막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며 “아직까지 단 한 건의 화재도 발생하지 않은 SKIET의 분리막은 유럽 시장에서도 고품질 분리막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티어1(Tier1) 습식 분리막 시장 세계 1위인 SKIET는 폴란드 제1공장 상업 가동을 시작으로 유럽 배터리 분리막 시장을 선점한다는 건다는 포부다. SKIET 유럽 생산 기지에서 생산되는 분리막은 이미 2공장은 물론 3‧4공장에서 생산될 물량까지 계약이 체결될 만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티어1 분리막 시장은 전기차 시장을 이끄는 완성차업체에 탑재되는 배터리에 공급되는 분리막 제품 시장을 말한다. 

이창훈 기자 lee.changh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

2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3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4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5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6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

7현대건설, '전 공정 무재해' 47개 협력사에 상금 전달

8쿠키런: 모험의 탑, 글로벌 정식 출시…사전예약자 250만명 돌파

9NH투자증권, 증권사 최초 ‘소비자가 가장 추천하는 브랜드’ 3년 연속 1위

실시간 뉴스

1‘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

2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3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4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5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