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대출 ‘2억원’만 넘어도 규제 예정…전세대출 심사도 손볼 듯
금융위 가계부채대책 26일 발표 예정
DSR 규제 대책 앞당겨 시행, 차주별 대출 총액 관리할 듯
전세대출도 보증비율 및 금리 관리 강화
![](/data/ecn/image/2021/10/24/ecna6f511d4-5d24-4fa6-9012-8bab82785548.jpg)
26일 가계부채 보완대책 발표…대출심사 강화 조기 시행
은행권은 현재 부동산 규제지역에서 6억원이 넘는 주택을 담보로 주택담보대출을 받거나, 1억원 이상 되는 신용대출을 받으면 DSR 40%(2금융권은 60%) 규제를 적용하고 총대출액이 4억원을 넘지 못하도록 관리하고 있다. 정부가 애초 내년 7월부터 적용하기로 한 DSR 강화 방침이 조기에 시행되면 내년 초부터 같은 아파트라도 대출한도가 4억원에서 3억원으로 1억원가량 줄어든다.
금융당국은 또한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5~6%)도 내년에는 4%로 낮출 예정이다. DSR 규제 정책뿐 아니라 은행이 내줄 수 있는 대출 한도 자체를 줄여 가계 부채에 대한 총량 증가를 막겠다는 방침이다.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의 경우 올해 3분기 말 실적 발표를 하면서 가계대출이 지난해 말 대비 올 3분기까지 각각 4.9%, 5.2% 증가했다고 전했다. NH농협은행은 올해 상반기에 이미 가계대출 증가율이 5.8%를 기록한 상황이다. 연말까지 가면 은행권의 평균 대출 증가율이 당국의 기준치인 6%를 넘길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국에선 은행의 연간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를 기존보다 더 낮은 4%로 낮출 경우 영업점마다 DSR 규제 적용에 이어 보다 엄격한 대출 심사를 통해 한도를 조정하는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data/ecn/image/2021/10/24/ecn9124ee67-7b1f-4893-9135-b0315874e984.jpg)
고승범 위원장 “전세대출 갭투자 유발해 관리 강화 필요”
이에 비대면 전세대출 신청이 아닌 은행 창구에서 대출을 신청하고 심사를 통과하도록 하는 등의 조치도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현재 80~100%까지 보증해주는 공적보증기관의 보증비율을 낮추거나 금리를 올리는 방안 등도 적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지난 21일 국회 국정감사에서 “전세대출이 갭투자를 유발한다는 지적이 있으니 이 부분에 대해선 관리를 해나가려 한다”며 “지금 상황으로는 봐서는 내년에도 굉장히 강화된 부채 관리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지난 20일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감에서 “가계부채 보완대책이 현재 검토 막바지 단계”라며 “전체적으로 총량 관리와 DSR 규제 강화 내용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투자증권, 상반기 리테일 영업 신입사원 공개채용
2메리츠증권 Super365, 예탁자산 5조원·고객수 10만명 달성
3"아파트에서 살래요"…작년 주택거래 아파트 비중 역대 최고
4“더는 못버텨, 실패한 정책”…카드노조 “수익 보존 장치 마련해 달라”
5퇴출 기준 높인 한국 증시… 일본·미국처럼 효과 볼까
6GITEX 2024에서 주목받은 K-스타트업…”해외 시장 도전 중”
7키움증권, AI 기반 웹툰 형식 리포트 ‘리포툰’ 출시
8카드수수료율 ‘3년 만’ 또 인하…사실상 ‘제로’에 카드사 울상
9작년 '월급쟁이'가 낸 세금 60조원 돌파…역대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