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중기대출도 비대면이 대세?…가계대출 막힌 은행들, 기업대출 '올인'

기업대출 10월에만 10조원 증가…대출 태도지수 중 기업대출만 '플러스' 전환
비대면 대출 등 서비스 개선 '긍정적'…리스크 관리 측면에선 우려 목소리도

 

 
 
서울의 한 시중 은행의 대출 창구 모습. [연합뉴스]
 
금융당국 주도의 '가계대출 옥죄기'가 내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국내은행들이 기업대출에서 활로를 찾고 있다. 기존 대면 위주였던 기업대출을 가계대출처럼 '비대면'에서도 가능하도록 시스템 구축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다만 최근 늘어나는 기업대출이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어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연체율 상승 우려도 커지는 분위기다. 
 

은행권 대출 증가율, 가계대출 < 기업대출  

16일 금융당국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 10월말 기준 국내 은행의 기업대출은 한 달 동안 10조3000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9조2000억원)과 2019년 10월 증가 규모(7조50000억원)와 비교해 매년 증가세가 커지는 모습이다.  
 
특히 중소기업 대출 증가 규모가 컸다. 10월에만 국내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은 8조원 늘었다. 같은 기간 대기업은 2조3000억원, 개인사업자는 2조6000억원 증가했다. 국내 은행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공급한 기업대출 총액은 82조9000억원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 10월 누적 규모(45조2000억원)와 비교해 크게 확대됐다.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 집계를 봐도 10월말 기준 기업대출 잔액은 총 628조6494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9.2% 늘었다. 9월과 비교해 7조원 늘어나 매달 증가하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금융권에서는 가계대출 규제에 직면한 은행들이 발 빠르게 기업대출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 한국은행이 지난달 발표한 '국내은행 차주별 대출태도지수'에 따르면  지난 3분기는 가계와 기업 모두 대출 태도지수가 마이너스(-)였지만, 4분기엔 기업대출은 플러스(+)로 전환됐다. 
 
대기업은 3, 중소기업은 3을 기록한 반면 가계주택은 -15, 가계일반은 -32로 여전히 마이너스를 유지했다. 대출태도지수가 마이너스면 대출 심사를 강화하겠다고 한 금융기관이 완화하겠다는 곳보다 많다는 뜻이다. 그만큼 은행들이 4분기부터 더 적극적으로 기업대출 확대에 나선다는 것을 의미한다.  
 

리스크 관리 어려운 중소기업대출…'부실화' 우려  

이에 더해 일부 은행들은 기존에 대면 위주로 이뤄졌던 기업대출을 앞으로 비대면으로도 공급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구축 중이다. 가계대출 중심이었던 '쉬운' 비대면 대출이 기업대출로까지 확산되는 형국이다.   
 
이미 KB국민은행은 지난해 말에 'KB스마트기업대출'로 100% 비대면 기업대출 서비스를 구축했고, 올해엔 우리은행이 개인사업자 전용 비대면 대출인 '우리 오(Oh!) 클릭대출'을, 네이버파이낸셜과 제휴한 '우리은행 네이버스마트스토어 대출'을 내놨다.  
 
신한은행은 지난 9월 더존비즈온의 자사주 1.97%(723억원)를 취득했다. 신한은행은 더존비즈온과 함께 금융·비금융 데이터를 연계해 중소기업 대상 중·저금리 대출을 확대할 뿐 아니라 향후 비대면 기업대출도 확대할 방침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기업대출 건전성이 내년부터 급격히 악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가계대출 및 대기업대출과 달리 중소기업대출의 경우 상대적으로 기준금리 인상 등의 외부 요인에 취약해 은행들로서는 연체율 관리에 애를 먹는 대출자산으로 꼽힌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0월말 은행권 기업대출은 대기업대출 연체율이 0.28%를,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3%로 매달 개선되고 있지만 '코로나19 대출 만기연장 및 이자상환유예 조치'가 내년 3월 종료되면 자산 건전성이 급격히 나빠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이자보상배율(기업이 벌어들인 돈 중 갚아야 할 이자비용)이 1보다 낮았던 기업 비중은 26% 정도였는데, 이자율이 1%포인트 상승할 경우 이 비중은 30%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병윤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국내은행 리스크 관리 강화 필요' 보고서에서 "수치상 건전성은 좋은 편이나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한 대출 만기 연장 및 원리금 상환유예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라며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한계기업 비중이 높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금투협·운용업계, 밸류업 간담회…“미국·일본 수년내 따라잡을 수 있어”

2오아시스마켓, 1Q 영업익 567% 증가…분기 최대 실적 경신

3대한항공, 美 글로벌 트래블러 선정 ‘최고 일등석 기내식’

4아리바이오,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AR1001 中 3상 IND 승인

5母子 갈등 봉합 못했다...송영숙 한미사이언스 대표 해임

6“저축은행 부실채권 정리 위한 2000억원 자체펀드 조성”

7DB손해보험, ‘프로미 가족사랑 공모전’ 진행

8빗썸, 출금 수수료도 최저가 선언…‘보상제’ 함께 실시

9해빗팩토리 “소비 습관 조언, ‘AI 머니 튜터’에 맡기세요”

실시간 뉴스

1금투협·운용업계, 밸류업 간담회…“미국·일본 수년내 따라잡을 수 있어”

2오아시스마켓, 1Q 영업익 567% 증가…분기 최대 실적 경신

3대한항공, 美 글로벌 트래블러 선정 ‘최고 일등석 기내식’

4아리바이오,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AR1001 中 3상 IND 승인

5母子 갈등 봉합 못했다...송영숙 한미사이언스 대표 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