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소득상위 10~30%, 코로나19에도 부동산 덕에 함박웃음…순자산 늘었다
- 우리금융연구소 설문, 올해 소득상위 대중부유층, 지난해 대비 순자산 증가
순자산 9억1000만원, 전년(7억6000만원) 대비 약 1억5000만원 늘어
부동산 가격 오르며 코로나 타격 축소…인기 투자처는 '주식'

코로나19에도 '땅값' 상승…자산↑
특히 부동산이 자산 가격 상승세를 주도했다. 대중부유층의 금융자산은 1억2077만원으로 전년보다 516만원 줄었는데, 부동산 평가액은 평균 7억5042만원으로 전년 대비 1억4143만원 늘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보유 부동산 규모가 커졌다는 응답자는 37.8%로 줄었다는 응답자(6.8%)의 5배가 넘었다. 이들의 총자산 중 부동산 비중은 78.7%로 전년 대비 2.1%포인트 증가하는 등 부동산 쏠림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고서는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성향 비중이 43.6%로 전년 대비 약 10%포인트 증가하는 등 대중부유층의 투자성향이 적극적으로 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 1년 동안 주식 보유가 증가했다는 응답자 비중은 29.0%로, 감소했다는 응답(13.9%)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대중부유층의 18.2%는 가상자산에 투자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의 평균 투자금액은 2041만원으로 집계됐다.
인기 투자처는 주식, 평균 암호화폐 투자액은 2000만원
암호화폐 투자의 경우 증가(30.5%)·감소(30.8%)·유지(38.7%) 비중이 거의 비슷했다. 암호화폐 투자를 늘린 경우 증가 규모는 100만~500만원이 35.1%로 가장 많았고 100만원 미만(21.6%), 500만~1000만원(18.0%) 순이었다.
대중부유층의 절반이 넘는 58.4%는 향후 부동산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구매의향자 중 54.8%는 대출을 받아 자금을 조달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대출금리에는 민감한 태도를 보였다. 대출 이용 희망자 중 55.6%는 대출금리가 4%대일 경우, 78.4%는 금리가 5%대일 경우 부동산 구매를 포기할 것 같다고 응답했다.
보고서는 "대중부유층의 부가 늘어나고 자산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금융사들은 대중부유층 대상의 자산관리 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금리인상 등 향후 예상되는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포트폴리오가 중심이 돼야할 것"이라고 했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중국, 엔비디아 AI 칩 구매 금지”…젠슨황 “실망스럽다”(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45세 맞아?… 이가령, 비키니로 시선 압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방중’ 조현 “APEC 시진핑 참석 확실…왕이 다음달 방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상법개정에 매각 줄줄이 좌초 우려…상장사 매물 든 PEF ‘고심’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옥석 가리는 AI의료]루닛 이후 2세대 기업도 1조 클럽 가능…뜨는 다크호스는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