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소득상위 10~30%, 코로나19에도 부동산 덕에 함박웃음…순자산 늘었다
- 우리금융연구소 설문, 올해 소득상위 대중부유층, 지난해 대비 순자산 증가
순자산 9억1000만원, 전년(7억6000만원) 대비 약 1억5000만원 늘어
부동산 가격 오르며 코로나 타격 축소…인기 투자처는 '주식'

코로나19에도 '땅값' 상승…자산↑
특히 부동산이 자산 가격 상승세를 주도했다. 대중부유층의 금융자산은 1억2077만원으로 전년보다 516만원 줄었는데, 부동산 평가액은 평균 7억5042만원으로 전년 대비 1억4143만원 늘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보유 부동산 규모가 커졌다는 응답자는 37.8%로 줄었다는 응답자(6.8%)의 5배가 넘었다. 이들의 총자산 중 부동산 비중은 78.7%로 전년 대비 2.1%포인트 증가하는 등 부동산 쏠림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고서는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성향 비중이 43.6%로 전년 대비 약 10%포인트 증가하는 등 대중부유층의 투자성향이 적극적으로 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 1년 동안 주식 보유가 증가했다는 응답자 비중은 29.0%로, 감소했다는 응답(13.9%)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대중부유층의 18.2%는 가상자산에 투자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의 평균 투자금액은 2041만원으로 집계됐다.
인기 투자처는 주식, 평균 암호화폐 투자액은 2000만원
암호화폐 투자의 경우 증가(30.5%)·감소(30.8%)·유지(38.7%) 비중이 거의 비슷했다. 암호화폐 투자를 늘린 경우 증가 규모는 100만~500만원이 35.1%로 가장 많았고 100만원 미만(21.6%), 500만~1000만원(18.0%) 순이었다.
대중부유층의 절반이 넘는 58.4%는 향후 부동산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구매의향자 중 54.8%는 대출을 받아 자금을 조달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대출금리에는 민감한 태도를 보였다. 대출 이용 희망자 중 55.6%는 대출금리가 4%대일 경우, 78.4%는 금리가 5%대일 경우 부동산 구매를 포기할 것 같다고 응답했다.
보고서는 "대중부유층의 부가 늘어나고 자산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금융사들은 대중부유층 대상의 자산관리 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금리인상 등 향후 예상되는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포트폴리오가 중심이 돼야할 것"이라고 했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루카스바이오, 복지부 지원으로 소아용 난치성 BK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일간스포츠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승기, '주가 조작 혐의' 처가 손절..무슨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대로 가면 매장 텅 비고 해고 쓰나미 온다"…섬뜩한 경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해외서는 투자 늘리는데…갈길 먼 국내 헤지펀드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할로자임, MSD에 특허심판 이어 특허소송...알테오젠 영향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