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국채금리, 2%대 ‘고공행진’ 이어져…14조 추경에 금리불안↑
- 10년물 대비 단기채 금리 상승세 뚜렷
정부, 14조원 규모 1월 추경안 통과…11.3조는 국채발행으로 마련
미 연준 긴축 등 영향에 경기 둔화 가능성 높아져

21일 채권시장에 다르면 이날 오전 11시 12분 기준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 민간평가사 금리보다 2.1bp(1bp=0.01%포인트) 내린 2.092%를 기록했다. 10년물 금리는 3.3bp 하락한 2.522%에 거래됐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지난 6일 연 2.013%로 마감하며 지난해 11월 24일 이후 다시 2%를 넘어섰다. 이후 지난 17일 연 2.148%까지 오르는 등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
장단기 금리차는 점차 좁혀지고 있다. 20일 기준으로 10년물 금리는 연 2.558%로 전 거래일보다 2.1bp 상승했다. 5년물과 3년물, 2년물은 각각 4.5bp, 4.6bp, 5.2bp 상승하며 10년물 금리보다 더 크게 올랐다.
금융업계에선 보통 장단기 금리 차가 좁혀지거나 역전될 경우 경기 침체 전조로 간주한다. 최근 들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기준금리 조기 인상을 내놓는 등 경기 둔화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단기채 금리 상승이 두드러지는 모습이다.
이날 정부는 국무회의에서 소상공인 지원과 방역 보강을 위한 14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추경 규모 14조원 중 11조3000억원은 국채발행을 통해 마련하고, 2조7000억원은 공공자금관리기금 여유자금에서 끌어온다는 방침이다. 대규모 추경의 재원을 마련하기 위한 추가 국채 발행이 예상되며 금리 불안이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한편 미국의 국채 금리도 빠르게 오르는 분위기다. 미 10년물 국채 금리는 지난 20일 장중 한때 1.9%를 돌파하며 2019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도 2020년 2월 이후 처음 1%를 넘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삼양식품, 주가 130만원도 비싸지 않은 이유[주톡피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결혼' 민아 "정말 뜨거웠다"…예비신랑 정체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속보]SKT “대리점, 영업정지기간 예상 판매 건당 15만원 보상”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금융자산·차입금 정보 깜깜…“공시보고 투자 판단 가능하겠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AI 피부암 재생치료 임상 성공' 로킷헬스케어 ↑…'매각설' 압타머사이언스 ↓[바...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