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노무라 “올해 韓 성장률 2.1% 그쳐…추가 금리인상 어려울 것”
- 로버트 노무라 그룹 아시아경제 책임자
“불확실성 확대로 기준금리 추가 인상 어려워”
중국 경제성장 둔화 영향도 원인으로 꼽아

로버트 슈바라만 노무라 그룹 아시아경제·글로벌시장분석 책임자는 18일 세계경제연구원이 개최한 ‘2022 한국 및 중국 경제·금융시장 전망: 포스트 팬데믹세계경제의 구조적 변화’ 웨비나에 연사로 나서 이같이 밝혔다. 국제통화기금(IMF)과 한은 등 주요 기관들이 우리나라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3.0% 정도로 내다봤지만, 그는 이보다 낮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아울러 그는 저성장이 지속될 우려에 한은이 올해 기준금리를 1.25% 수준을 유지하고 추가 인상을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한은이 기준금리를 연내 최대 4차례, 최고 1.75%까지 인상할 것이란 시장의 예상치와 비교된다.
이런 전망은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를 근거로 두고 있다. 그는 중국 경제에 대해 “지난해 실제 성장률은 4%로 나온 공식 집계보다 더 낮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올해는 성장 둔화가 더 본격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도시봉쇄 등과 부동산 시장 규제 등으로 1분기 중국의 경제 위축이 초래될 수 있다”며 “대외무역 부문만이 유일하게 중국 경제의 명목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중국이 주요국과는 반대로 금리 인하 등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상당 기간 이어가고, 재정 부양을 위한 정부의 지출도 많이 늘릴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의 가계부채 급증에 따라 금융당국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대출 규제에 나서면서 민간소비가 부진해질 수 있다는 점과 내달 대선 결과에 따른 불확실성 증대도 한국경제의 하방 요인으로 꼽았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베선트 “11월 상호관세 시행 전 중국과 무역 합의 가능성”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성시경, 14년간 소속사 미등록 운영 '충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반도체가 천장 뚫었다”…코스피, 3440선 돌파하며 5거래일 연속 최고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리걸테크, 미국·일본 동시 상륙…‘법률 AI’ 해외 판로 넓힌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김진환 바이오플러스 대표 “분자량 한계 깬 ‘휴그로’…화장품부터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