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서울 아파트값 낙폭 확대…25개 자치구 중 24곳 하락

대선에 경제 불확실성까지, 관망세 짙어져

 
 
서울 남산에서 내려본 아파트. [연합뉴스]
 
서울 아파트값이 하락폭을 확대했다. 대선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시장에서는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
 
3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0.03% 하락하며 지난주(-0.02%)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서울 아파트값은 1월 말부터 5주 연속 하락세다.  
 
서울시내 25개구 가운데 24개구의 아파트값이 떨어졌다. 지난주 하락했던 서초구는 다시 보합으로 돌아섰다. 종로구(-0.08%)와 서대문구(-0.08%), 성북구(-0.07%), 은평구(-0.05%) 순으로 낙폭이 컸다. 3주 연속 보합세였던 성동구도 이번 주 0.01% 하락했고, 노원(-0.04%), 도봉(-0.04%), 강서(-0.03%)구 등은 지난주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경기도의 아파트값은 지난주 -0.03%에서 금주 -0.02%로 하락폭이 줄었다. 인천은 4주 연속 하락세를 멈추고 이번 주 보합 전환됐다. 시흥시(-0.10%)와 수원시 영통구(-0.06%), 화성시(-0.06%) 등의 하락이 컸다.  
 
반면 안산시는 최근 이어진 아파트값 하락세를 멈추고 0.07% 상승했다. 특히 GTX 노선이 지나는 상록구가 한주 만에 0.16%나 뛰었다. 이는 지난 주 정부가 광역급행철도(GTX) C노선에 상록구 상록수역을 신설하겠다고 발표하면서다.  
 
부동산원은 다음 주 대선을 앞둔 데다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도 커지면서 시장에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주 신고 된 수도권 아파트 매매는 1790여건으로 평년의 21% 수준이다. 거래량 감소와 함께 대체로 이전 신고가보다 하락한 급매물 위주로 거래되며 하락폭이 소폭 확대됐다.  
 
지방에서는 8개 도(道)에선 0.04% 상승했지만 광역시에선 0.03% 하락했다. 특히 세종(-0.21%)과 대구(-0.14%), 대전(-0.07%)에서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전세시장은 안정세가 지속되는 모양새다. 전국의 아파트 전셋값은 0.02% 내리며 지난주(-0.01%)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3% 하락했다.  높은 전세 부담과 코로나19 호가산, 계절적 비수기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 외 경기(-0.03%)와 인천(-0.12%)도 지난주 수준의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승훈 기자 lee.seungho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트럼프 "중국, 우리 돈 필요해"…中 "반격 조치 정당"

2SK하이닉스, 올해 두 번째 생산직 인력 채용 실시

3무역분쟁 고조에 매출 꺾인 LVMH…더 비싼 에르메스 시총 1위

4우아함은 ‘오프로드’로, 속도는 ‘서킷’으로…제네시스가 美서 내놓은 해답

5OKX 미국 진출 본격화…벌금 합의 후 거래소·지갑 서비스 론칭

6최상목 “관세협상 서두르지 않겠다…새정부가 최종결정"

7“1000일 됐어요” 해외여행 필수템 된 ‘이 서비스’

8코스피 상장사 배당금 30조원…밸류업 법인 '앞장'

9국제당뇨병연맹 "당뇨병 환자 10명 중 4명, 진단 안 받아"

실시간 뉴스

1트럼프 "중국, 우리 돈 필요해"…中 "반격 조치 정당"

2SK하이닉스, 올해 두 번째 생산직 인력 채용 실시

3무역분쟁 고조에 매출 꺾인 LVMH…더 비싼 에르메스 시총 1위

4우아함은 ‘오프로드’로, 속도는 ‘서킷’으로…제네시스가 美서 내놓은 해답

5OKX 미국 진출 본격화…벌금 합의 후 거래소·지갑 서비스 론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