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비바社와 ‘디지털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 협력’ MOU체결
플랜트 설계 자동화·데이터 중심 설계 등 디지털 전환에 총력

GS건설이 설계기술 디지털화를 통해 국내외 실적이 두터운 친환경 LNG 수입터미널 사업을 강화할 전망이다.
GS건설은 7일 서울 종로구 GS건설 본사에서 아비바(AVEVA) 사와 ‘디지털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조성한 GS건설 플랜트부문 대표와 캐스퍼 허즈버스(Casper Herzberg) 아비바 글로벌 영업대표가 참석했다.
아비바는 영국 소프트웨어 솔루션 기업으로 산업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전환에 특화됐다.
이번 협력을 통해 GS건설은 아비바로부터 설계 소프트웨어 및 사용 지원 프로그램을 지원 받아 플랜트 설계 자동화(Automation)와 데이터중심설계(Data Centric Engineering) 등 설계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이 같은 시스템 개발은 LNG 수입터미널 공정을 기준으로 진행돼 해당 분야의 경쟁력 강화가 예상된다. LNG 수입터미널은 블루수소(Blue Hydrogen) 원료인 재 기화(Regasification)된 천연가스를 제공해 ‘탈탄소 저공해’ 연료로 활용되는 친환경 에너지로 꼽힌다.
GS건설은 보령·삼척·통영·인천 등 국내뿐 아니라 바레인, 태국 PTT 등 해외에서도 LNG수입터미널 수행 실적을 쌓아왔다. 무엇보다 해상 LNG 수입터미널 모듈화를 통해 발주처가 원하는 최적 용량에 따른 신속한 맞춤설계가 가능해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GS건설은 이번 협력으로 디지털 엔지니어링 기술을 개발해 해당 분야에서 더욱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설계, 표준화된 품질을 확보함으로써 세계 최고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LNG뿐 아니라 가스·정유·화학·환경플랜트 등 수행실적을 갖춘 다양한 분야에서도 이 같은 디지털 설계 시스템을 활용하려 한다.
특히 이 같은 노력은 ‘디지털 역량 강화와 친환경 경영을 통한 지속가능성장’이라는 GS그룹 핵심가치와 연계돼 GS건설이 디지털 전환에 성공하고 친환경 중심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대표 건설사로 자리매김하는 데 보탬이 될 전망이다.
GS건설 관계자는 “고도화 된 플랜트 설계 분야에서 디지털 통합 설계 시스템을 적용해 LNG 수입터미널 사업뿐 아니라 친환경 사업의 경쟁력을 끌어 올릴 것”이라며 “앞으로도 디지털 전환과 친환경 중심의 플랜트 사업을 더욱 성장시킬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민보름 기자 min.boreum@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다승 1위' 롯데 안경 에이스, 왜 등판 밀렸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故 오요안나 가해자 지목 기캐, 끝내 결말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바람 불면 날릴 정도” 삼성, 업계 최고 수준 OLED 내놨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롯데카드부터 애경산업까지…내달 M&A 큰장 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파미셀, 줄기세포 치료제 업체에서 AI 첨단산업소재 업체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