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러시아발 유가 폭등에 급락…나스닥 3.6%↓
미국 러시아산 석유 수입금지 검토 등 영향

7일(현지시각)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97.42포인트(2.37%) 떨어진 3만2817.3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27.78포인트(2.95%) 하락한 4201.0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82.48포인트(3.62%) 급락한 482.48에 장을 마감했다.
뉴욕증시가 폭락한 것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 세계 경제 회복세가 둔화될 것이란 우려가 커졌기 때문입니다. 특히 미국과 동맹국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를 검토하면서 국제유가가 치솟자 투자심리가 얼어붙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전날 미국 CNN과의 인터뷰를 통해 “동맹국들과 러시아산 원유 금수 조치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4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3.72달러(3.2%) 오른 119.4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WTI는 장중 최고 130.50달러를 기록, 2008년 7월 이후 최고치를 찍기도 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의 5월물 브렌트유 역시 장중 배럴당 139.13달러까지 오르며 200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추가 유가 상승도 경고하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서방의 제재로 러시아산 원유 수출이 차단되면 공급이 500만 배럴 넘게 감소해 올해 유가가 2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분석했으며, JP모건은 국제유가 전망치를 185달러까지 올렸다.
안전자산인 금값은 상승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금은 온스당 1.5%(29.30달러) 오른 1995.90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금값은 장중 최고 온스당 2007.50달러까지 올라 한때 2000달러 선을 넘어섰다.
원태영 기자 won.taeyoung@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