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국채 10년물과 2년물 금리 차 2년여만 최저치
올해 10년물-5년물 금리 차는 장중 역전도
미국 주요 IB “지정학적 리스크 영향의 침체 우려”

주요 투자은행들은 장단기 금리 차 축소에 따라 당장 경기 침체가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경우 이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 압력 확대가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은행 외자운용원이 18일 내놓은 ‘최근 미 국채 장단기 금리 차 축소에 대한 시장 평가’에 따르면 미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과 2년 만기 국채 수익률 간의 차이는 지난해 3월 31일 1.58%포인트까지 확대된 이후 축소 전환되며 올해 3월 17일 현재 0.26%포인트까지 좁혀진 상황이다.
또 올해 3월 11일 이후 미 국채 10년물과 7년물 간 역전현상도 지속되고 있고, 지난 3월 16일 장중에는 10년물과 5년물 간 금리 역전현상이 발생했다. 한은은 미 국채 장단기 금리 차 축소를 연준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부각되던 지난해 3월 이후 지속됐다고 분석했다. 특히 올해 초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기조가 가속화되면서 축소폭이 더욱 커진다고 봤다.

다만 주요 투자은행들은 최근의 금리 차 축소를 경기침체 전조로 해석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평가를 내놓는다. 최근 장단기 금리 차 축소는 경기 우려에 따른 장기물 금리 하락의 결과라기보다,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단기물 가격에 반영된 결과로 파악되기 때문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장단기 금리 차 역전이 금리인상 이후에 주로 나타나는 데 반해 지금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기 초반이라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JP모건은 미국 경제 여건이 기업 이익 전망치의 상향 조정, 가계 소비 호조 등에 비춰 여전히 양호하다고 평가하면서 연준의 금리 인상을 충분히 감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주요 투자은행들은 장단기 금리 차 자체보다 지정학적 리스크에 의한 인플레이션 장기화를 주요 위험요인으로 내다봤다. 뱅크오브몬트리올(BMO) 등은 우크라이나 사태와 서방의 러시아 제재가 예상보다 심화되고 있고, 이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이 스태그플레이션 압력으로 이어질 경우 올해 중 수익률 곡선이 역전되고 경기침체 우려가 커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일동제약, 동전파스 ‘로이히츠보코’ 국내 정식 출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권은비, 워터밤 여신의 당당한 셀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이주비 규제해 투기 막겠다"는 정부…'졸속 규제' 논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산한 회사채 시장… 7년물 발행하는 HD현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유럽 동정적 사용은 ‘효과 입증’ 필수…젬백스, 알츠하이머 임상2상 성공 청신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