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정부 공정거래위원장 후보 강석훈 정책특보로 압축될듯
박근혜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 역임
윤석열 대선캠프에선 정무실장으로 정책 수립
![](/data/ecn/image/2022/04/22/ecn57a828b9-bbd2-4372-b9d2-69f3b2b114c5.jpg)
22일 인수위 등에 따르면 19일 전까진 공정거래위원장 후보로 강석훈 정책특보와 구상엽 울산지방검찰청 인권보호관이 거론됐으나 의견이 강석훈 정책특보로 압축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 결정은 23일 예정된 내각 2차 인선 때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강석훈 특보는 경제분야 정책통으로 불린다. 1992년 대우경제연구소 금융팀장에서 시작해 1997년 성신여대 사회과학대 경제학과 교수를 지냈다. 1999년 한국은행 객원연구원을 통해 정부기관 관련 일에 발을 내디뎠다.
이후 통계청 통계품질심의위원, 보건복지부 자활정책기획팀 위원, 기획예산처 기금평가위원, 근로복지진흥기금 기금운용 자문위원, 여성가족부 여성인력개발정책협의회 위원, 서울시 시정여론조사 조사방법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이어 19대 국회의원(서울 서초구을 새누리당)으로 정계에 입문했으며,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국정기획조정분과 인수위원으로 참여했다. 나눔경제특별위원회 간사, 금융개혁태스크포스 위원, 경제상황점검태스크포스 단장, 제20대 총선공약개발본부 나눔경제단 부단장 등 새누리당의 경제정책 브레인으로 활약했다.
박근혜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을 역임했으며, 이번 20대 대통령선거에선 국민의힘 선대본부 정무실장을 맡아 경제정책 수립에 참여했다.
또 인수위원회는 '수석비서관' 이름은 없애지 않고 그대로 두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윤 당선인은 제왕적 대통령제를 극복하겠다는 취지로 청와대 '수석비서관 폐지'를 공약했다. 각 부처 위에 군림하며 소통보다는 명령식으로 업무가 이뤄지던 행태를 없애려면 위압적인 인상을 주는 '수석' 명칭부터 바꾸겠다는 계획이었다. 대안으로는 '선임보좌관' 등이 거론됐다.
박정식 기자 park.jeongsi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지난해 국립대병원 10곳, 적자 규모 5600억원 달해
2제주서 잡힌 ‘전설의 심해어’ 돗돔... 크기가 무려 183cm
3못 말리는 한국인의 홍삼 사랑...홍삼원 '1000억 메가 브랜드' 됐다
4상위 1% 부자 되는 법은…“30대엔 몸, 40대엔 머리, 50대엔 ‘이것’ 써라”
5쿠팡이츠, 상생 요금제 도입…매출 하위 20% 수수료 7.8%p 인하
6"갤럭시 S25, 기다려라"...AI 기능 담은 '아이폰 SE4' 출시 임박, 가격은?
7‘농약 우롱차’ 현대백화점 “환불 등 필요한 모든 조치”
8작년 배당금 ‘킹’은 삼성 이재용…3465억원 받아
9유럽, 기후변화로 바람 멈추나…풍력 발전 위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