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수입 밀 가격 13년 만에 최고…칼국수·냉면 더 오르나 [체크리포트]
- 3월 밀 수입단가 t당 402달러…2008년 이후 최고치
지난해 같은 달보다 41%, 2020년 3월보다 54% 상승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해상운임 상승이 원인

20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달 밀 수입량은 42만9376t이었으며 수입금액은 1억7244만8000달러로 집계됐다. 지난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때 t당 369달러였던 것과 비교해 8.9% 올라 지난달에는 402달러에 달했다.
이는 2008년 12월 406달러 이후 13년 3개월 만의 최고치다. 400달러를 넘어선 것도 2008년 말 이후 처음이다. 지난달 밀 수입금액은 2021년 3월(284달러)과 비교하면 41.5% 늘었다.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2020년 3월(260달러)과 비교하면 54.6%나 올랐다.
수입 밀 가격이 치솟고 있는 이유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국제곡물 시장에서 밀 수급에 대한 우려가 커졌고, 전 세계적인 물류난으로 해상운임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세계 밀 수출량의 약 29%를 차지하고 있어 이 두 국가에서 사료용 밀을 수입하고 있는 한국도 간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밀 가격 급등에 국내 소비자의 외식 물가 부담이 높아졌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의 칼국수 평균 가격은 8113원으로 1년 전보다 8.7% 올랐다.
김채영 기자 kim.chaeyoung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위약금 면제, 전고객 8월 요금 50% 할인…파격 보상 내놓은 SKT(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결혼' 민아 "정말 뜨거웠다"…예비신랑 정체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위약금 면제, 전고객 8월 요금 50% 할인…파격 보상 내놓은 SKT(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금융자산·차입금 정보 깜깜…“공시보고 투자 판단 가능하겠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거품 꺼지는 바이오]①사면초가 바이오벤처, 자금 고갈에 속속 매물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