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ck Report
9년간 저소득층·고학력층서 출산율 하락폭 가장 커 [체크리포트]
- 한경연, 소득분위별 출산율 변화 분석
2019년 하위층 출산 가구 수 2010년보다 51% 줄어
고학력층인 초대졸 이상 가구 수는 48% 감소

3일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소득분위별 출산율 변화 분석과 정책적 함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한경연은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2010년 대비 2019년의 소득계층별 출산율 변화를 분석했다. 가임기간을 고려해 15~49세 가구주의 가구데이터를 대상으로 삼았고 소득계층은 가처분소득을 기준으로 1분위는 소득 하위층, 2분위는 소득 중위층, 3분위는 소득 상위층으로 각각 분류했다.
한경연이 2010년 대비 2019년의 소득 계층별 출산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소득 계층의 100가구당 출산 가구 수는 2010년 5.98가구에서 2019년 3.81가구로 36.2% 줄었다. 계층별로는 소득 하위층의 100가구당 출산 가구 수는 2010년 2.72에서 2019년 1.34로 51.0% 줄어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소득 중위층은 같은 기간 6.50에서 3.56으로 45.3%, 소득 상위층은 7.63에서 5.78로 24.2% 줄었다.
고졸 이하의 저학력층과 초대졸 이하의 고학력층 등으로 학력 수준을 구분해 출산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고학력층에서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연령, 학력, 거주지역, 거주 형태 등의 조건이 동일할 경우 소득에 따른 출산율을 추정한 결과 소득계층이 높을수록 출산율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김채영 기자 kim.chaeyoung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비혼시대 역행하는 ‘종지부부’... 귀여운 움이, 유쾌한 입담은 ‘덤’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0/02/isp20251002000123.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약속의 8회' 한화 이글스, 19년 만 KS 승리라니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약속의 8회' 한화 이글스, 19년 만 KS 승리라니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2000억달러 10년간 분할투자…'대미 투자방식' 극적 타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3000억 몸값' 비극일까…매각 맞물린 런베뮤 과로사 논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구바이오제약, 바이오벤처 투자 '마이더스의 손' 등극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