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DSR 유지한다지만 사실상 규제 완화…‘영끌족 부활?’
새 정부, DSR에 청년 미래소득 적용할 듯
‘미래소득 적용+주담대 40년+전세대출’로 갭투자 쉬워져
금융업계 “전세대출도 DSR에 포함해야”

DSR에 ‘미래소득’ 추가…영끌족 대출 여력 상승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도 지난 2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DSR 제도 유지가 필요하다”면서도 “미래소득과 장래소득 반영 부분의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새 정부의 방침대로라면 DSR 규제의 실효성은 크게 떨어져 소득이 적은 대출자의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과 ‘빚투(빚내서 투자)’가 다시 가능한 환경이 조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출이 전혀 없는 연봉 3000만원의 직장인이 30년 만기의 주담대를 금리 4.5%로 신청할 경우, 현 DSR 40% 규제 안에서 받을 수 있는 대출금은 1억9700만원이다. 하지만 미래소득을 감안해 적용되는 연 소득을 4000만원으로 높이면 대출 가능액은 2억6000만원까지 오르고, 대출 만기를 40년으로 하면 총대출액은 2억9600만원까지 증가한다. 미래소득과 만기 연장만으로 1억원 가량의 추가 주택 구매 여력이 생기는 셈이다.
DSR 현행 유지 계획…전세대출 규제는 손 놓는 상황

금융업계는 부동산 시장의 교란 요인으로 전세대출 증가를 꼽고 있다. 문재인 정부에서 실수요자 보호라는 명분을 내놓으며 DSR에 전세대출을 포함하지 않은 탓에 주택 매수 수요를 지속해서 자극했다는 지적이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지난달 10일 내놓은 ‘전세자금대출 증가에 따른 시장 변화 점검’에 따르면 전세대출 잔액은 2019년 100조원을 돌파했고, 지난해 말에는 180조원까지 증가했다. 전세대출 증가에 따른 전세가격 상승이 이어졌고, 갭투자에 유리한 환경도 계속된 셈이다.
이 보고서는 “전세자금 대출 확대는 서민주거 안정이라는 긍정적인 요인이 있지만, 과도한 대출로 인한 유동성 증가 또한 발생했다”며 “이에 따른 부작용은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전세자금대출 원리금 상환 유도 ▶전세대출 자금의 DSR 포함 필요성 등을 제시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새 정부에서 DSR을 유지한다고 밝혔지만, 내막을 보면 규제를 완화한 것과 비슷하게 됐다”며 “DSR이 시장에서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미래소득 반영은 현재로서는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대법원, 쿠팡 집행정지 인용...“공정위 시정명령 중지”
2음식점에 '최저가 요구'...요기요, 대법서 무죄 선고
3NHN, ‘다키스트 데이즈’ 글로벌 사전 예약 시작
4다시 불붙은 강남 아파트값...토허제 풀린 ‘잠삼대청’이 주도
5“고속도로 전기차 충전 더 쉬워진다”...워터·쏘카, 업무협약 체결
6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2024 임팩트 리포트’ 발간
7 尹, '10차 탄핵심판' 헌재 출석한 뒤 5분여 만에 퇴정
8“창립 이래 최대 성과” PFCT, 투자자 평균 수익률 11.87%
9포켓몬코리아, 메타몽 매력 알리는 ‘메타몽 프로젝트’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