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챗봇 서비스로 지방세 문의 24시간 상담해드려요”

행안부 14일 ‘위택스봇’ 시범 운영
보완 개선 뒤 10월부터 본격 개시

 
 
문자나 음성으로 이용자와 대화하면서 이용자의 문의 유형에 맞춰 정보를 제공하는 챗봇 서비스를 담은 이미지.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행정안전부(행안부)는 국민이 가장 많이 문의하는 세금에 대해 챗봇(chatbot) 상담서비스인 '위택스봇'을 14일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챗봇은 음성이나 문자를 이용해 이용자인 사람과 대화를 나누면서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작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행안부는 전국 지방자치단체 상담센터에 축적된 지방세 민원 53만여 건을 분석해 위택스봇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구축했다. 행안부는 11개 지방세 세목 중에서 민원인의 문의 빈도가 높은 6개 세목(자동차세·재산세·취득세·지방소득세·주민세·등록면허세)을 대해 챗봇 서비스를 우선 도입했다.
 
위택스봇 서비스는 ▶키워드만 입력하면 추천 질문을 자동으로 보여주는 ‘단답형’ ▶답변 내용이 포괄적이어서 질문을 구체적으로 다듬거나 답변 내용이 복잡할 경우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면 자세한 답변을 제공하는 ‘시나리오형’ ▶하나 이상의 내용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관련 정보를 모두 확인할 수 있는 ‘일괄 상담’ 등 3가지 유형으로 민원인의 문의에 대응한다.  
 
위택스봇은 지방세 누리집(wetax.go.kr) 첫 화면에서 ‘위택스봇’ 이미지를 선택하면 된다. 메신저 카카오톡에서도 지방세 상담 채널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행안부는 위택스봇 서비스를 9월까지 시범 운영한 뒤 부족한 점을 개선해 10월부터 본격 개시할 계획이다.  
 

박정식 기자 tang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지난해 국립대병원 10곳, 적자 규모 5600억원 달해

2제주서 잡힌 ‘전설의 심해어’ 돗돔... 크기가 무려 183cm

3못 말리는 한국인의 홍삼 사랑...홍삼원 '1000억 메가 브랜드' 됐다

4상위 1% 부자 되는 법은…“30대엔 몸, 40대엔 머리, 50대엔 ‘이것’ 써라”

5쿠팡이츠, 상생 요금제 도입…매출 하위 20% 수수료 7.8%p 인하

6"갤럭시 S25, 기다려라"...AI 기능 담은 '아이폰 SE4' 출시 임박, 가격은?

7‘농약 우롱차’ 현대백화점 “환불 등 필요한 모든 조치”

8작년 배당금 ‘킹’은 삼성 이재용…3465억원 받아

9유럽, 기후변화로 바람 멈추나…풍력 발전 위협

실시간 뉴스

1지난해 국립대병원 10곳, 적자 규모 5600억원 달해

2제주서 잡힌 ‘전설의 심해어’ 돗돔... 크기가 무려 183cm

3못 말리는 한국인의 홍삼 사랑...홍삼원 '1000억 메가 브랜드' 됐다

4상위 1% 부자 되는 법은…“30대엔 몸, 40대엔 머리, 50대엔 ‘이것’ 써라”

5쿠팡이츠, 상생 요금제 도입…매출 하위 20% 수수료 7.8%p 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