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역 완화한 올해부터 반등 급증
대형 마트 쇼핑 앱 설치도 증가

유통업계의 매출 증감 여부를 떠나 코로나19 대유행 동안 위축됐던 외부활동이 밖으로 분출하면서 쇼핑몰 방문·이용이 코로나19 사태 전보다 더 급증했기 때문이다.
[이코노미스트]와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가 차량 내비게이션 티맵(Tmap) 이용자의 대형 마트 차량 방문 동선(대략적인 수치)을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방문 규모가 코로나19 사태 발발 전 규모를 뛰어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마트별 차량도착 수를 살펴보면 이마트는 코로나19가 대유행 하기 전인 2019년 4월 약 112만5693대, 5월 약 126만6011대 수준이었다. 코로나19 발병률이 감소하고 방역 지침을 대폭 완화하고 있는 올해 4월에는 147만8625대, 5월엔 178만321대를 기록했다. 2019년보다 30만~50만대가 더 급증한 것이다.


롯데마트도 이마트와 홈플러스보다 증가세 더디긴 하지만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 4월 약 51만8918대, 5월 약 57만7351대 수준이었다. 하지만 올해 들어 1월(58만7832대), 2월(48만7111대), 3월(48만6491대), 4월(57만6399대)에 2019년 수준을 회복하더니 5월(67만6224)엔 10만~20만대 더 증가하는 모습이다.
회원제로 운영하는 외국계 대형 마트 코스트코도 2019년 대비 올해 1.5배 증가했다. 2019년 4월과 5월엔 약 50만대 안팎이었다. 하지만 올해 4월에는 61만8663대, 5월엔 74만174대로 늘어났다. 야외활동이 급증하는 여름을 앞두고 수요가 이 속도대로 증가한다면 조만간 2배 정도 증가할 전망이다.
차량도착 수는 차량 1대를 나타내므로 차량 탑승자 수를 고려하고, 대중교통·도보 방문객까지 합하면 방문 수요는 더 많을 것으로 짐작된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 기준 온·오프라인 대형마트 앱 6종(마이홈플러스·홈플러스·이마트·이마트몰·롯데마트GO·롯데마트몰)을 분석한 결과, 롯데마트GO를 제외한 5가지 앱의 설치기기 수는 전월 대비 증가했다.
각 앱의 전월 대비 증감률은 마이홈플러스 1.29%, 홈플러스 0.09%, 이마트 2.76%, 이마트몰 0.27%, 롯데마트GO -0.13%, 롯데마트몰 0.6%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최근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13년 9개월만에 5.4%의 최고치를 기록했음에도 국내 대형 마트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다”며 “업계가 방역 완화 시점에 맞춰 대대적인 할인행사를 벌인 점도 방문 수요를 끌어들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정식 기자 tang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중국, 엔비디아 AI 칩 구매 금지”…젠슨황 “실망스럽다”(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45세 맞아?… 이가령, 비키니로 시선 압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방중’ 조현 “APEC 시진핑 참석 확실…왕이 다음달 방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상법개정에 매각 줄줄이 좌초 우려…상장사 매물 든 PEF ‘고심’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옥석 가리는 AI의료]루닛 이후 2세대 기업도 1조 클럽 가능…뜨는 다크호스는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