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오르고 매물 늘더니‘…5월 수도권 아파트값 낙폭 확대
금리 인상·집값 하락 우려 등으로 매수세가 위축
인천·경기 연립주택(빌라) 매매, 최근 2년여만에 처음 하락 전환

지난달 수도권의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폭이 전월 대비 2배 이상으로 커졌다.
15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10% 하락했다. 지난 4월(-0.04%)에 비해 낙폭이 2배 이상으로 확대됐다.
서울 아파트값은 4월(-0.01%)에 이어 5월에도 0.01% 떨어져 같은 수준의 낙폭을 유지했지만 같은 기간 인천의 아파트값 하락폭은 -0.05%에서 -0.23%로 대폭 커졌다. 경기도의 아파트값 내림폭도 4월 -0.06%에서 5월 -0.11%로 확대됐다.
최근 다주택자 절세 매물이 증가한 가운데 인천은 올해 새 아파트 입주 물량도 작년보다 늘면서 하락폭이 커지고 있다.
이는 대출 금리 부담이 커진 데다 고물가 지속, 미국발(發) '빅스텝'(한 번에 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하는 것) 등 긴축 우려로 글로벌 경제에 적신호가 켜지면서 매수세가 위축된 영향이다. 수도권의 아파트 거래량도 예년의 절반 이상으로 감소한 상태다.
지방 주요 도시들의 하락폭도 커지고 있다. 지난달 지방 아파트값도 부산은 보합을 기록했지만 신규 주택공급이 많은 대구는 0.78% 하락하면서 4월(-0.63%)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대구 아파트값은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누적 하락폭이 -2.81%에 달한다.
세종 아파트값은 지난달 0.60% 내리며 전월(-0.65%)보다 낙폭이 다소 둔화됐지만 올해 누적 하락률은 -3.65%로 전국 시도 가운데 가장 높았다.
특히 인천과 경기의 연립주택(빌라) 매매가도 하락 전환됐다. 연립주택의 경우 서울이 0.02% 올라 전월(0.01%)보다 상승폭이 커졌으나 인천과 경기도는 각각 0.11%, 0.01% 하락했다.
인천의 연립주택 가격이 하락한 것은 지난 2019년 8월(-0.03%) 이후 2년 9개월 만이다. 경기도는 2019년 12월(-0.04%) 이후 2년 5개월 만이다.
업계에서는 최근 금리 인상으로 앞서 소액 투자에 나섰던 연립·빌라 매수자들이 급매물을 내놓으면서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승훈 기자 wave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6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7“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8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9현대차 제일 잘 파는 사람, ‘대전’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