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文 정부 주택임대차법·분양가상한제 손 본다
주택 공급 확대 위한 장애 제거 초점
임차인·임대인·건설사 혜택 확대 예정

정부는 시장에 주택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는데 목적을 두고 무주택자 전·월세 부담 완화, 임대사업자 세제 지원 확대, 분양가격 현실화 등을 고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등은 이에 대한 방안을 담은 대책을 21일 발표할 예정이다. 무주택자에 대한 지원 방안의 경우 교육비·연금·의료비 등을 고려해 월세액 세액공제율을 최대 12%→15% 수준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급여액이 총 7000만원 이하인 무주택자가 월세 주택(기준 충족)에 거주하면 월세액(연 750만원 한도)의 10%까지, 급여가 총 5500만원 이하인 무주택자에겐 12%까지 세액공제를 적용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월세공제율을 2배(최대 24%까지)로 확대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었다. 이는 국회 동의를 얻어야 세법 개정에 해당하므로 정부 입장에선 당장 실현시키긴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전세자금대출 원리금 상환액에 대한 소득공제(상환액의 40%, 연 300만원 한도)를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임대료 인상을 최소화하는 상생 임대인에게 부담을 덜어주는 혜택을 확대하라”는 윤 대통령의 지시에 보조를 맞추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윤 대통령이 언급한 ‘상생 임대인’은 전월세 임대료를 직전 계약 대비 5% 안에서 인상해 2년 계약을 유지한 임대인을 의미한다. 정부는 이들에게 실거주 의무요건을 2년에서 1년으로 줄이는 등의 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특례 혜택을 더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대사업자는 현재 수도권 공시가격 6억원(비수도권 3억원) 이하 주택에 대해 종합부동산세 합산에서 배제되는 혜택을 받고 있다. 정부는 이같은 세제 지원 요건을 완화하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임대사업자 지원 확대 방안은 ‘민간 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개정, 임대사업자제도의 다주택자 절세 수단으로 전락 등의 논란이 우려돼 윤 정부도 신중한 입장이다.
친(親) 기업 성향을 가진 윤 정부는 분양가 상한제에 대해서도 손을 댈 예정이다. 윤 정부는 현 분양가상한제가 민간 건설사들의 발목을 붙잡아 주택 공급에 장애가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분양가격에 대한 정부의 통제로 건설사들이 사업 참여를 꺼린다는 판단에서다.
정부는 제도 개편 방향을 분양가격 현실화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업계는 예상한다. 최근 원자재 가격이 크게 오른 점도 한 배경이다. 국토교통부도 지난 4월 아파트 건설 원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해 인상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고분양가 심사 기준도 일부 바뀔 것으로 예측된다.
박정식 기자 tang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2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3"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4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5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
6산케이 “韓, 독도 불법 점거...국익 해칠 뿐” 다케시마의 날 잇단 도발
7성관계 후 의문의 붉은 점…韓 2030 '이것' 주의보
8현대차가 짓는 삼성동 GBC, '105층 1개동→54층 3개동'으로
9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14억달러 해킹...'최대 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