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미국 실패, 중국 중요" 젠슨 황의 강조, 이유는…
- "수출 규제에 수십억 달러 재고 손실
중국, 큰 컴퓨팅 시장…놓치기 아깝다"

21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황 CEO는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링네탈 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미디어 Q&A' 행사에서 "(미국의) 수출 통제는 실패했다. 팩트들이 그것들 말해주고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우리는 수출 규제로 H20 제품을 중국에 출하할 수 없게 됐고 그 결과 수십억 달러 규모의 재고를 전액 손실 처리해야 했다"며 "이는 일부 반도체 회사의 매출 전체에 맞먹는 규모"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만큼 중국 시장에서의 매출도 컸고 손해도 컸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지난해 엔비디아는 중국에서 회사 전체 매출의 14%에 해당하는 약 170억 달러의 매출을 올린 바 있었다. H20은 그동안 엔비디아가 중국에서 합법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유일한 AI 칩이었으나,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H20의 수출도 제한한 상태다.
황 CEO는 "4년 전, 바이든 행정부가 시작될 무렵, 중국 AI 칩 시장의 95%를 점유하고 있었으나 지금은 50%로 줄어들었다"며 "게다가 우리는 사양이 낮은 제품만 팔 수 있었기 때문에 평균판매단가(ASP)도 떨어졌고 그만큼 수익도 많이 잃었다"고 전했다.
아울러 황 CEO는 엔비디아가 H20 칩의 낮은 버전을 중국에 출시할 것이라는 일각의 추측을 일축하기도 했다.
황 CEO는 "현재의 H20이나 호퍼(Hopper) 아키텍처는 더 이상 추가로 성능을 낮출 방법이 없다. 그렇게 되면 시장에서 쓸모가 없어진다"고 언급했다.
또한 중국 시장의 중요성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중국 시장이 매우 중요하다"며 "전 세계 AI 연구자의 50%가 중국에 있고 우리는 그들이 엔비디아 플랫폼 위에서 AI를 만들기를 바란다. 딥시크 모델은 엔비디아 위에서 만들어졌고 그건 우리에게도, 세계에도 선물이었다"고 말했다.
황 CEO는 "중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컴퓨팅 시장이며, 제 예상으로는 내년 AI 시장 전체가 약 500억 달러 규모일 것"이라며 "이는 엔비디아 입장에서도 엄청난 기회이며 놓치기 아깝다"고 했다.
이어 "(중국 시장을 통해) 미국은 세수도 늘리고 일자리도 만들고 산업도 유지할 수 있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황 CEO는 그러면서 "지금의 정책 방향은 잘못됐다고 생각한다. 그 어떤 이유에서든, 현장에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 즉 '현장의 진실'이 정책결정자들에게 영향을 줘 우리가 다시 중국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정책이 바뀌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선택지는 아주 제한적이고 우리는 이미 제품의 성능을 극단적으로 낮춘 상태"라며 "지금 당장 좋은 해결책은 없지만 계속 고민해보겠다"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CG처럼 부풀어오른 벽…수원 다세대주택 주민들 대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선정 "故 김새론 이용? 소신대로 했을 뿐"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막내린 용산 시대…대선 이후 대통령 집무실 어디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백기사’로 얽힌 재계…경영권 분쟁 때 빛나는 동맹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유바이오로직스 ‘영업이익률 42.7%’, 백신기업 1위...고수익 유지 가능할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