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곡물→사료→육류, 도미노 인상”…식량 가격 더 치솟는다 [그래픽뉴스]

FAO 세계식량가격지수, 지난 3월 사상 최고치 기록
곡물부터 육류, 유지류 가격까지 오르며 먹거리 가격↑

 
 
식량 가격이 치솟는 가운데, 하반기에도 급등 흐름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업계에 따르면 주요 식량 가격이 급등하면서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가 지난 3월 159.7포인트(p)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뒤 지난달까지 비슷한 수준이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기 전인 2018년과 2019년에는 식량가격지수가 각 월평균 95.9p, 95.1p로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지난해부터는 급등세를 보이면서 월평균 125.7p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3월에는 160p에 육박한 것이다.
 
품목별로 보면 곡물 가격지수는 2019년 월평균 96.6p에서 지난해 131.2p로 상승했고, 올해 5월에는 173.5p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수로만 보면 지난 2∼3년 새 2배 정도 상승한 것이다.
 
특히 밀은 생산량 2위 국가인 인도가 지난 5월 식량 안보를 이유로 수출을 제한하면서 수급 불안 문제가 불거지면서 지난 12일부터는 밀가루 등 밀 관련 식품 수출에 대해서도 규제를 내린 상태다. 또 곡물 가격 상승에 따라 사룟값이 오르면서 육류 가격지수도 올해 상반기 꾸준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문제는 이 같은 상반기 원료 가격 상승이 아직 시장에 본격적으로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식품업계는 대부분 원료를 비축해두고 쓰기 때문에 원재료 가격 상승 영향은 3∼6개월 시차를 두고 나타난다. 이런 상황에서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로 폭등하면서 수입 물가는 더 오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분석이 크다.
 
식품 업계는 ‘하반기에도 이 같은 상승세가 이어질 것’을 예상한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식자재 가격 인상하는 등 수급이 불안한 상황에서 운송비까지 증가하는 등 복합적인 요인이 겹치면서 하반기에는 더 큰 식품 제품 가격 인상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출범 3년간 성장 입지 다진 넥슨게임즈, 신작 투자로 글로벌 도약 노린다

211비트 스튜디오, 미스터리 SF 어드벤처 ‘디 얼터스’ 6월 13일 출시

3라인게임즈, 신작 타이틀 ‘엠버 앤 블레이드’ 최초 공개

4“스테이블코인은 금융 인프라”…디지털 자산 정책 골든타임 진입

5매운맛 열풍 때문에...단종 제품 다시 나온다

6"팬들 제보 모여 범인 잡았다"...하이브 아티스트 딥페이크 피의자 8명 검거

7‘강남스타일’에서 ‘금융스타일’로…iM금융, 싸이 광고 온에어

8부동산원, ‘당근마켓’ 허위매물 모니터링 대상에 포함

9닌텐도·소니, 美 관세 인상에 콘솔 가격 ‘인상 검토’

실시간 뉴스

1출범 3년간 성장 입지 다진 넥슨게임즈, 신작 투자로 글로벌 도약 노린다

211비트 스튜디오, 미스터리 SF 어드벤처 ‘디 얼터스’ 6월 13일 출시

3라인게임즈, 신작 타이틀 ‘엠버 앤 블레이드’ 최초 공개

4“스테이블코인은 금융 인프라”…디지털 자산 정책 골든타임 진입

5매운맛 열풍 때문에...단종 제품 다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