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4대금융, 앞다퉈 내놓은 주주환원책…주가 반등 조짐 보이나

최근 주가 상승세…상반기 순이익 9조원 육박
증권가 “은행주 관전 포인트, 주주환원”

 
 
4대금융그룹 본사 전경. [사진 각 사]
금리인상 수혜에도 고전하던 금융주가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올해 상반기 실적발표에서 주요 금융그룹은 자사주 소각과 중간 배당 등 주주환원책을 내놨고, 이는 추후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금융그룹 호실적…주가도 소폭 상승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2일 KRX은행주는 618.25에 장을 마감했다. 지난 18일과 비교해 2.42% 오른 수치다.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금융 주가도 일제히 상승세를 띄었다. 금융주 중 시가총액 1위인 KB금융은 22일 주당 4만7750원에 장을 마감했다. 지난 18일 종가와 비교하면 3.47% 상승했다. 
 
같은 기간 ▶신한금융 2.89% ▶하나금융 1.54% ▶우리금융 3.43% 등 주요 금융그룹 주가 또한 모두 올랐다. 이들 종목의 주가 상승률은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 상승률 0.75%보다 더 큰 폭으로 상승했다.
 
통상 금융주는 금리인상기 대표적인 수혜수로 꼽힌다. 은행들의 예대마진이 오르면서, 이자이익 증가를 통한 실적 개선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금융주는 지난달 이후 최근까지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52주 신저가를 경신하는 등 고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다 지난주 미국 대형 금융그룹이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국내 금융주에 대한 기대심도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  
 
지난 21~22일 양일간 국내 금융그룹 또한 호실적을 발표했다. 4대금융의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8조9662억원에 달한다. 반기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다. 지난해 상반기 합산 순이익 8조910억원과 비교해 약 10.8% 늘어났다.
 
지난 22일 KB국민은행 딜링룸 모습. [사진 국민은행]

금융주 주가 관건은 ‘주주환원책’ 

각 금융지주들은 실적발표에서 저마다 주주환원을 강화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시장에선 이 같은 금융사의 주주환원책이 추후 주가 상승에 관건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재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최근 은행주의 주가 급락은 은행들의 주주환원 정책이 다소 후퇴할 수 있음을 일부 반영한 결과”라며 “은행주에 있어 최대 관전 포인트 중 하나는 올해는 물론, 내년 감익이 발생하더라도 배당이 유지될 수 있다는 확신을 줄 수 있는지의 여부”라고 설명했다.  
 
KB금융은 주당 500원의 분기배당을 결의했다. 또한 지난 2월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1500억원 규모의 보유자사주를 소각하기로 결정했다. 서영호 KB금융 재무총괄전무(CFO)는 “이번 자사주 소각으로 KB금융은 올해 누적 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한다”며 “올해 순이익이 작년보다 1원이라도 더 많다면, 주당 배당금 또한 작년보다 높게 책정할 수 있도록 최대로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KB금융 자사주 소각이 업계의 주주환원 확대 흐름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규제 관련 우려 완화와 주주 환원 확대로 주가 또한 긍정적인 방향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신한금융은 오는 8월 이사회에서 분기배당을 확정할 예정이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지난 1분기 400원의 분기 배당금을 지급하는 등 주주환원정책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분기 배당을 정례화했다”고 밝혔다.
 
하나금융은 지난 15년간 이어온 중간배당 전통을 계승해 주당 800원의 중간배당을 실시하기로 결의했다. 앞으로도 하나금융은 주주가치 향상을 위해 배당 확대 및 자사주 매입, 소각 등 다양한 자본 활용 방안을 통한 주주환원정책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우리금융 또한 올해 중간배당 주당 150원을 실시한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추후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다양한 주주환원 활동도 추진하는 등 이해관계자 상생 경영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럼에도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에 금융주에 대한 우려의 시각도 여전하다. 최근 금융당국은 금융권을 향해 고통분담에 나서라고 언급했고, 은행들은 취약차주 지원책 등을 내놓으며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정부의 금융지원 정책에서 은행권 부담 규모가 명시적으로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정책자금과 기금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므로 은행권이 이를 상당 부분 분담할 수 밖에 없다”며 “지금 당장 지원 규모의 많고 적음보다는 앞으로의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이 더욱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서민과 소상공인의 어려움이 지속될 경우 이러한 정책들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을 공산이 크다”면서 “결국 이러한 요인들은 은행주에는 할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윤주 기자 joos2@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엎질러진 물…죽겠더라" 박현호♥은가은, 무슨 사연?

2한일 상의 회장단 "에너지·첨단기술 민간 협력 강화"

3카카오스타일 지그재그, ‘블랙 프라이데이’ 역대급 흥행…일 거래액 100억 행진

4한경협 "조세 전문가 82%, 상속세 완화에 긍정"

5고양·의정부시·동대문구·세종시 '2024년 스마트도시' 인증

6BAT로스만스, 합성니코틴 전자담배 ‘노마드 싱크 5000’ 출시

7바이든 정부, 반도체 보조금 규모 줄인다…5억 달러 넘게 축소

8김종민 '11세 연하♥' 눈 뜨자마자…"혼자 몸 아녔으면"

910년 간 청약 경쟁률 높은 지역 1위 '세종시'…2위는 부산

실시간 뉴스

1"엎질러진 물…죽겠더라" 박현호♥은가은, 무슨 사연?

2한일 상의 회장단 "에너지·첨단기술 민간 협력 강화"

3카카오스타일 지그재그, ‘블랙 프라이데이’ 역대급 흥행…일 거래액 100억 행진

4한경협 "조세 전문가 82%, 상속세 완화에 긍정"

5고양·의정부시·동대문구·세종시 '2024년 스마트도시' 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