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 침체 반사효과 누리는 상업·업무용 부동산 [오대열 리얼 포커스]
1~5월 거래량 역대 최다
공급·공실률 ↓ 임대료 ↑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건축물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올해 1~5월 전체 건축물 거래량은 64만2150건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량은 13만4117건으로 전체 부동산 거래 비중의 20.9%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1~5월 기준)이래 가장 높은 비중이다.
전국 시·도별 가운데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로 조사됐다. 올해 1~5월 서울 전체 건축물 거래량 7만7737건 중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량은 2만2856건으로 29.4%를 차지했다 거래비중을 보여 2006년(1~5월 기준)이래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인천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비중은 26.7%, 경기 26.5%, 부산 25.3%, 제주 23.9%, 강원 21.6%, 충남 20.6%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현상은 주택 시장이 강한 부동산 규제를 받는 사이에 상업·업무용 부동산으로 수요가 쏠렸다는 것으로 분석이 가능하다.

이처럼 공실률이 역대급 수준으로 낮아지고 있지만 신규 공급은 줄어들고 있어 오피스 임대료는 증가세를 나타냈다. 2분기 들어 서울의 A급 오피스의 월평균 실질임대료는 3.3㎡당 11만1300원으로 역대 최고 임대료를 경신했다. 광화문권역(CBD)·여의도권역(YBD) ·강남권역(GBD) 등 3대 권역의 공실률이 낮아지면서 전분기 대비 8.5% 증가했다.
다만 상업·업무용 부동산 시장 진입을 고려한다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미국 연준의 가파른 금리 인상 기조 때문이다. 미국 기준금리는 연말까지 3.00~3.25%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도 외국인 투자자 이탈을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따라 올릴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현재 서울 강남·도심·여의도에서 공실을 찾기 힘들 정도로 수요가 넘치는 임대차 시장도 악영향이 예상된다. 고금리에 경영난을 겪거나 투자를 제때 받지 못한 기업들이 늘면서 오피스 수요가 꺾일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상업·업무용 부동산 시장 진입을 고려한다면 ‘옥석 가리기’를 해야 한다. 입지를 비롯해 미래가치 등 조건을 꼼꼼하게 따질 필요가 있다.
※ 필자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종 부동산 통계를 분석, 제공하는 큐레이션 서비스 ‘경제만랩’의 리서치 팀장이다.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졸업 후, 언론사에서 취재기자로 활동하다가 경제만랩 리서치팀에 합류해 부동산시장의 변화를 분석하고 있다.
오대열 경제만랩 리서치 팀장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6개월간 휴일 'NO' 편의점 점장, 끝내…본사 답변은
2트럼프, 韓에 25% 상호관세 ‘폭탄’...“대미 통상전략 촉구해야”
3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광고 모델로 가수 비비 발탁
4"사기 혐의로 처벌해달라"...최형록 발란 대표 '출국금지' 됐다
5"꽃받침 턱받이 아시나요?"...아기 용품으로 매출 500억 기록한 K-기업 나왔다
6사망‧실종자 휴대전화 비밀번호 해제 가능해질까
7서머스 전 美재무장관 섬뜩한 경고 “상호 관세는 역사상 가장 큰 자해”
8강풍·비 소식에…‘벚꽃엔딩’ 빨라질까
9정인교 통상본부장 8∼9일 미국 방문…USTR 대표와 상호관세 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