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 9월부터 최저 3.7% 고정금리 주담대 전환 실시
5대 은행 가계대출 매달 감소…2분기 이자비용도 급증
높은 금리 주는 정기예금 7월에만 31.7조↑ ‘역대 최대’

23~35만명 변동금리 주담대, 최저 3.7% 고정금리로 전환 예정
금융위원회는 9월 15일부터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을 최소 연 3.7%까지 낮춘 고정금리로 바꿔주는 안심전환대출 신청을 받는다고 전했다. 안심전환대출이란 1·2금융권에서 받은 혼합형을 포함한 변동금리 주담대를 주택금융공사의 장기 및 고정금리 대출로 갈아탈 수 있는 제도다.
이번에 정부가 내놓은 안에 따르면 지원 대상자는 부부합산 연소득이 7000만원 이하인 1주택자이면서 주택 가격은 4억원 이하여야 한다. 금리 수준은 10~30년 만기에 따라 연 3.8~4.0%로 결정됐고, 특히 연소득 6000만원 이하면서 만 39세 이하 청년은 이보다 낮은 연 3.70~3.90%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다. 정부는 총 25조원 규모로 안심전환대출을 공급할 예정으로, 23만명에서 최대 35만명이 혜택을 볼 것으로 추정한다.

여기에다 자영업자·소상공인을 위한 대출 대환 프로그램은 다음 달 말부터 시행된다. 5월 31일 이전에 은행과 2금융권에서 빌린 사업자대출의 금리가 신청 시점에 연 7%가 넘으면 0.5%포인트가 낮은 대출로 갈아탈 수 있다. 이 정책 규모로 8조5000억원이 책정됐다.
은행 이자비용 급증…하반기 더 심해질 예정
실제로 한은에 따르면 금융권의 가계대출은 7월에 3000억원 감소했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총 2000억원 줄어든 상황이다. 특히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월에 2조2155만원 감소하며 7개월 연속 줄었다.
아울러 은행의 이자비용은 하반기에 크게 증가할 예정이다. 이자가 거의 없는 은행 수시입출식예금이 7월 들어 53조3000억원 감소하며 한은의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로 줄었다. 반면 최근 기본 3%가 넘는 이자를 지급하는 정기예금은 한 달 만에 31조7000억원 증가해 앞으로 은행이 지급해야 할 이자비용도 급증할 전망이다.

이는 예·적금 증가와 함께 지급 이자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최근 주식과 부동상 시장이 침체되면서 안전자산 선호에 따라 은행의 수신상품으로 자금이 몰리고 있는데 여기에다 금리까지 높아진 것이다.
이런 이유로 시중은행은 2분기 실적은 1분기보다 감소하거나 순이익 증가율이 떨어졌다. 국민은행의 2분기 당기순이익은 1분기 대비 23.4% 감소했고 신한은행도 5.0% 줄었다. 하나은행은 5.9% 증가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인 17.7%보다 한참 떨어졌다. 우리은행의 같은 기간 16.9%에서 16.8%로 다소 낮아졌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금융지원정책이 과감한 만큼 은행의 부담도 클 수밖에 없다”며 “서민들의 고통 분담이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러브버그, 7월 중순이면 사라질 듯…살충제까지 쓸 필요 없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혜리, ♥새 사랑 찾았다..남자 친구 정체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주담대 6억 규제'로도 집값 못 잡으면…한은이 내놓은 대책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신평 3사, 롯데지주·롯데케미칼 신용등급 일제히 강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4연상했던 에이비온, 29.75% 급락한 사연…유틸렉스 ‘강세’[바이오 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