땡겨요 이어 N배달까지…배달 앱 시장 11월 ‘2차 대전’ 예고
[빅데이터로 보는 경제 동향]
배달의민족·배달요기요·쿠팡이츠 3파전에
신한은행 땡겨요, 네이버 N배달도 가세
쿠팡이츠 기기설치수 올해 초보다 감소

소비자 반응도 나쁘지 않다. 신한은행의 땡겨요는 출시 8개월여만인 9월 회원 수가 100만명을 넘어섰다. 가맹점인 소상공인과 배달종사자·소비자 등 땡겨요 플랫폼 참여자 모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앞세워 배달 앱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월간 이용자 수(MAU)가 8월 기준 59만여명에 이를 정도다.
네이버 ‘N배달’도 미용실·음식점·팬션 등 지역 소상공인을 겨냥하고 있다. N배달은 지도·예약·결제 등 네이버의 다른 기능들과 연동시킨 배달 서비스다. 예를 들면 네이버 지도 앱에서 픽업 주문을 진행하면 가맹점으로 주문이 전달되는 방식이다. 기존 네이버 이용자들을 앱 배달 수요로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한은행과 네이버의 강력한 도전은 국내 배달 앱 시장에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 기존 배달 앱 시장은 배달의민족·배달요기요·쿠팡이츠가 삼분하고 있다. 신한은행과 네이버의 도전이 독과점과 같은 현 체재를 깨트릴 것으로 보인다.

3개 앱 기기설치수는 올해 2~3월 정점을 찍은 뒤 하락세를 나타냈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야외 나들이가 증가한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최근 8월 기준 ▶배달의민족 2067만6000대 ▶배달요기요 1228만8000대 ▶쿠팡이츠 804만9000대 순으로 집계됐다.
박정식 기자 tang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美 하버드대, 트럼프 정책에 반기…13조원 지원 포기 왜?
2비트코인 1억2200만원대…트럼프 관세 유예 기대에 반등세
3코스피, 장 초반 2,460선 강세…자동차주는 급등, 상승 탄력은 제한
4이솔이, 암 투병 고백 후 가짜뉴스 多.."어떻게 해야 할지" 호소
5'충격' 박나래 이어 솔비도? "자택서 2억원가량 도둑맞아"
6"다음부터.." 박슬기, 항공사에 분노했다가 반성 왜?
7추성훈, 50억원 도쿄집 공개→♥야노 시호 '노발대발' 왜?
8박봄, 눈 크기 실화?...핑크빛 블러셔로 화려함 절정
9KB증권, 원유 선물 ETN 2종 신규 상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