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인상 농심, 발암물질 스벅”…‘치킨·라면 CEO’ 국감행, 쟁점은?
국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된 식품업계 CEO
가격 인상 이유부터 수입산 원재료 변경 조사까지
식품업계 “정부의 가격 통제 움직임에 압박 느껴”

고물가·갑질 이슈에…줄줄이 국감 소환
실제 농심은 지난해 8월에 라면과 스낵 가격을 올린 데 이어 지난 3월에 또 인상하고 6개월 만에 다시 라면과 스낵 제품을 각각 11.3%, 5.7% 가격 인상을 연이어 단행했다. 올해에 앞서 농심은 2012년 국감에서 1급 발암물질인 벤조피렌 검출과 관련해 질타를 받고 호된 신고식을 치른 바 있다.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CJ제일제당에서 출시한 컵반 원료를 국내산 쌀에서 수입산 쌀로 변경한 이유를 신문하기 위해 CJ제일제당 임형찬 부사장을 증인으로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국내 쌀 가격이 45년 만에 최대폭으로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CJ제일제당이 햇반 가격을 인상하게 된 이유 역시 물을 예정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산지 쌀값은 지난 15일 기준 20㎏당 4만725원으로 1년 전보다 24.9% 하락하는 등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는 반면 CJ제일제당은 지난해 2월 가격 인상 이후, 올해 4월부터는 판매가격을 7~8%가량 또 올렸다.
대형 마트가 내놓은 반값 치킨이 인기를 끌면서, 비교적 비싼 가격을 내세우는 국내 주요 치킨 프랜차이저 수장들도 국감에 소환된다. 증인 목록에는 박현종 bhc그룹 회장, 윤홍근 제너시스BBQ 이사회 의장, 윤진호 교촌에프앤비 대표 등이 포함됐다. 이번 국감에서는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의 수익률부터 치킨 가격과 관련한 정부의 외식 물가 정책의 효용성 등에 대한 점검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우스갯소리로 국회에서 식품업계 사람끼리 옹기종기 모여 있자고 말할 만큼 국감에 불린 식품기업이 많다”며 “원재룟값이 치솟는 가운데 농식품부는 물가 안정 간담회를 개최하고 국회는 국감으로 추궁하는 분위기여서, 안팎으로 압박감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6“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7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8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9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