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삼성SDI가 친환경 경영을 선언했다. 기후 변화 및 환경 위기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SDI는 전날 기후 변화 대응과 자원 순환 등 2개의 주제 아래 8대 세부 과제를 선정해 오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내용의 환경경영 전략을 발표했다.
삼성SDI는 2050년까지 단계적으로 국내외 전 사업장에서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기로 했다. 헝가리와 톈진, 말레이시아 등 해외 사업장부터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을 높일 방침이다.
재생에너지 인증서 구매, 녹색 요금제, 재생에너지 공급계약(PPA), 사업장 내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등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동원해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을 높여 나가기로 했다.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을 오는 2050년까지 신재생에너지로 100% 충당하는 RE100 캠페인에도 참여한다.
삼성SDI는 주요 온실가스 배출 원인인 액화천연가스(LNG)를 줄이기 위해 LNG 보일러를 전기보일러로 대체한다. 소각설비(대기방지시설)를 LNG 미사용 흡착설비로 교체할 계획도 있다. 공정에서 발생한 폐열을 회수하거나 재활용해 2050년까지 매출 1억원당 LNG 사용량을 낮출 예정이다.
2030년까지 회사가 보유하거나 임차한 업무용 차량을 무공해 전기차로 전환하고 충전 인프라도 지속 확대한다. 삼성SDI는 2019년 기흥사업장의 통근 버스로 친환경 전기 버스를 도입하고 국내 사업장의 주차장에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해 임직원이나 고객이 편리하게 전기차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바 있다. 지난해에는 환경부가 추진하고 있는 무공해차 보급 사업인 K-EV 100에 가입했다.
폐배터리 사용량도 늘린다. 삼성SDI는 전기차 보급이 활성화되면 폐배터리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판단, 배터리 전 생애주기 관점에서 폐배터리로 인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최윤호 삼성SDI 사장은 “친환경 경영은 미래 세대를 위해 기업이 반드시 실천해야 할 사회적 책임”이라며 “글로벌 최고 기업이 되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기업 경영의 핵심 경쟁력”이라고 밝혔다.
이건엄 기자 Leeku@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바이오플러스, 오스템임플란트와 HA필러 전략적 공급 계약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제는 韓 대표’ 카스트로프, 애국가 열창 화제…45분 ‘미친개’처럼 뛴 한국의 신형 엔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외교부 "구금 한국인 지연 출국, 트럼프 만류 탓…다시 올 것이라 설득"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1.5조' 복정역 환승센터 개발, 토지계약 '아직'…연말까지 협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큐라클, 제2의 올릭스로 부활하나…MT-101기술수출 '초읽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