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리 높은데도 오히려 대출 잔액 많아
윤창현 “정부 상품, 금융사 별 금리 수준 비슷해야”

1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근로자 햇살론을 취급하는 제2금융권 금융사 가운데 평균 금리가 가장 낮은 곳은 농협상호금융으로, 7월 말 기준 평균 금리가 연 5.5%였다.
이어 새마을금고의 평균 금리가 연 5.8%, 신협상호금융의 평균 금리가 연 6.5% 등이었다.
상호금융권보다 조달금리가 더 높은 저축은행업권에서는 근로자 햇살론의 평균 금리가 연 7∼8%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 햇살론 취급 상위 저축은행 3개사의 7월 말 기준 평균 금리를 보면 NH저축은행은 연 7.3%, 신한금융저축은행은 연 7.7%, SBI저축은행은 연 8.8%였다.
특히 평균 금리가 가장 높은 SBI저축은행과 평균 금리가 가장 낮은 농협상호금융의 금리 차이가 3.3%포인트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근로자 햇살론은 연 소득 3500만원 이하 혹은 개인신용평점이 하위 20%에 해당하면서 연소득이 4500만원 이하인 근로자를 위해 연 10.5% 이내 금리로 대출해주는 정책서민금융상품이다.
대출 취급기관은 상호금융조합과 저축은행이며 한도는 최대 2000만원, 대출 기간은 3년 또는 5년이다. 대출 한도는 올해 12월 말까지 한시 상향해 시행 중이다.
금융 소비자들은 취급기관에 따른 근로자 햇살론 금리 차이를 인지하지 못했다. 이에 평균 금리가 높은 금융사에서 오히려 근로자 햇살론 취급 실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월 말 기준 근로자 햇살론 대출 잔액을 보면, 평균 금리가 연 7.7%인 신한금융저축은행이 3848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평균 금리가 5.5%로 가장 낮은 농협상호금융의 잔액은 5분의 1 수준인 762억원에 불과했다.
이 밖에 금융사별 근로자 햇살론 대출잔액은 ▶NH저축은행 1511억원 ▶SBI저축은행 562억원 ▶새마을금고 515억원 ▶신협상호금융 403억원 등으로 집계됐다.
윤 의원은 “정부 보증이 뒷받침되는 대출상품은 금융회사 어디를 가던 비슷한 금리 수준이 유지될 필요가 있다”며 “서민금융진흥원은 더 낮은 금리로 대출을 취급하는 금융회사에 더 많은 보증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윤주 기자 joos2@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역대급 실적' SK하이닉스, 상반기 PI 성과급 150% 지급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국주, 日서 호화 생활? "나이에 맞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갑질논란'에 무너진 '현역불패 신화'…검증 부담 커진 당정(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송현인베, IBK 출신 김영규 대표 내정…'혼돈기' 끝내고 재정비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에이프릴바이오, 하반기 SAFA 경쟁력 검증…추가 기술수출 이어지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