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라면 일주일에 1.7회 먹는 한국인들…‘점심’에, ‘신라면’ 가장 많이 먹는다

aT, 라면 구매 경험 있는 15~65세 500명 대상 설문조사
라면 취식 빈도 주 평균 1.7회…남성 1.8회, 여성 1.5회
지난해 라면 수출액 8700억원…기생충·BTS 등 K-컬쳐 인기 덕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지난 17일 발표한 ‘2022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라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라면 제품 구매 경험이 있는 15~65세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라면 취식 빈도는 주 평균 1.7회였다. [연합뉴스]
 
한국인은 일주일에 평균 1.7회 라면을 먹는 것으로 조사됐다. 남성은 20대와 50대가 가장 많이 먹고 여성은 30대와 40대가 가장 많이 섭취했다. 라면을 가장 많이 먹는 시점은 점심시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지난 17일 발표한 ‘2022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라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라면 제품 구매 경험이 있는 15~65세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라면 취식 빈도는 주 평균 1.7회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1.8회, 여성은 1.5회였다.
 
라면 취식 시점(복수 응답)은 점심 식사가 58.2%로 가장 높고, 저녁 식사(43.2%), 간식 대용(26.8%), 상황에 따라 다름(20.0%), 심야 시간(19.4%), 아침 식사(10.8%) 등 순이었다.

 
지난해 농심과 오뚜기, 삼양, 팔도 등 4개 라면 제조업체 기준 국내 라면 소매시장 규모는 2조100억원으로 전년보다 6.7% 줄었다. 제조사별 국내 라면 시장 점유율은 농심이 49.5%를 차지했고 오뚜기 26.4%, 삼양식품 10.2%, 팔도 8.2%, 풀무원 0.8%, CJ제일제당 0.5%, 기타 4.4% 등 순이었다.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은 신라면이 16.9%로 1위, 진라면(9.5%), 짜파게티(7.5%), 팔도(5.8%), 육개장사발면(4.8%)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라면 수출액도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지난해 라면 수출액은 6억7000만달러로 전년보다 11.7% 늘어 원/달러 환율을 1,300원을 기준으로 하면 8710억원에 달하는 규모로, 지난 2015년 이후 7년 연속 라면 수출액이 증가해 매해 신기록을 세우고 있다.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이 22.2%로 가장 크고 이어 미국(12.0%), 일본(9.7%), 대만(4.7%), 태국(4.4%), 필리핀(4.2%), 말레이시아(4.1%), 호주(3.1%), 인도네시아(1.7%) 등 순이었다.
 
aT측은 “2020년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영화 ‘기생충’이 작품상 등 4관왕을 차지하며 영화에 등장한 ‘짜파구리’(짜파게티+너구리) 같은 한국 라면에 대한 관심이 급증한 영향이 지난해까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또 aT는 “유튜브를 통해 매운 라면 먹기에 도전하는 일명 ‘불닭 챌린지’ 콘텐츠가 큰 인기를 끌며 한국의 매운맛 라면을 먹는 것이 유행이 됐으며 기생충, 오징어 게임 등 한국의 영화와 드라마에서 라면을 먹는 모습이 등장하고 방탄소년단(BTS)이 매운 라면을 즐겨 먹는 영상이 퍼지는 등 한류 영향도 한 요인으로 꼽혔다”고 덧붙였다. 

김채영 기자 chaeyom@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

2국민 55%는 ‘국장’보다 ‘미장’ 선호…그 이유는?

3SK텔레콤, MWC 2025 참가…AI 기반 혁신 기술 공개

4주가 '반토막' 더본코리아 ...백종원 '오너 리스크' 함정 빠지나

5비만치료제 개발 드라이브…新치료제 개발 속도 내는 한미

6‘똘똘한 1채’ 열풍…지난해 서울 아파트 외지인 매입 역대 최고

7삼성물산, 4544억원 규모 송파 대림가락 재건축 시공사 선정

8한미약품그룹 갈등 종결…지배구조 향방 주목

9불확실의 시대, 리더는 왜 독서를 멈출 수 없는가

실시간 뉴스

1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

2국민 55%는 ‘국장’보다 ‘미장’ 선호…그 이유는?

3SK텔레콤, MWC 2025 참가…AI 기반 혁신 기술 공개

4주가 '반토막' 더본코리아 ...백종원 '오너 리스크' 함정 빠지나

5비만치료제 개발 드라이브…新치료제 개발 속도 내는 한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