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환경 분야 ‘매우 우수’ [2022 ESG 우수기업 200]
노사·경영진 관련 이슈 ‘매우 우수’

[이코노미스트]는 ‘지속가능발전소’와 함께 국내 주요 기업의 환경(Environmental)·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 활동을 살펴보고 기업들의 경쟁력을 도모하고자 기업별 ESG 평가 자리를 마련했다.
ESG 평가 등급은 ▶낮음 CCC, B ▶평균 BB, BBB, A ▶높음 AA, AAA로 나뉜다. 해당 등급은 ESG 성과 분석 점수에 사건사고 리스크 점수를 통합해 할인하는 방식으로 산출한다. 할인율은 리스크 점수 구간에 따라 최대 20%까지 적용된다.
평가 대상은 연말 기준 상위 800여개 상장기업과 200여개 비상장기업 및 공기업 등 총 1050여개 기업이다. 매년 5월부터 데이터를 수집해 9월 첫째주 최종 평가 점수를 발표하는 것으로 한다. 평가 데이터는 공공데이터 및 외부 기관에 검증된 보고서 등을 토대로 한다.
환경 분야의 경우 환경정보공개시스템을 주로 활용한다. 사회 분야는 고용노동부 및 공정거래위원회, 지배구조 분야는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 공시 자료를 주로 사용한다.
사건사고 분석은 자연어처리와 감성분석 등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사용해 뉴스가 특정 기업과 관련 있는지 확인하고,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 ESG 사건사고(화학 사고, 온실가스 배출, 산업재해, 임원의 부정부패 등)와 관련된 것인지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90여개의 국내 주요 언론사가 배포하는 1만5000여건의 뉴스를 매일 조사해 평가지표에 반영하고 있다.
SK텔레콤의 통합 ESG 등급은 ‘A’로, 통합 ESG 점수는 50.73점(124위)이다. 각 분야별로 살펴보면, 환경은 45.41점(362위), 사회는 49.51점(200위), 지배구조는 64.42점(40위)이다.
ESG 성과 분석 결과, 환경분야에서는 모든 이슈에서 산업 평균보다 ‘매우 우수’했다. 특히 기후변화 완화와 적응 이슈가 산업 평균 대비 ‘매우 우수’하다. 다만 오염방지 이슈가 환경 분야의 다른 이슈에 비해 점수가 낮아 개선이 필요하다.
사회분야에서는 노사 대화와 협력 이슈가 산업 평균 대비 ‘매우 우수’하다. 다만 인권 및 지역사회 이슈가 산업별 평균 대비 ‘미흡’해 사회 분야의 다른 이슈에 비해 개선이 요구된다.
지배구조분야에서는 경영진 이슈가 산업 평균 대비 ‘매우 우수’하다. 다만 도덕성 이슈는 산업별 평균 대비 평균 수준으로 평가돼 지배구조 분야의 다른 이슈에 비해 개선이 필요하다. ESG 사건사고 분석 결과 SK텔레콤의 ESG 리스크 점수는 3.5점으로 ‘매우 높음’ 수준이다.

원태영 기자 won77@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위메이드, 위퍼블릭 통해 산불 피해 복구 성금 1억2000만원 기부
2블로믹스, 신작 게임 포트리스HG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
3카카오뱅크, ‘연 7% 금리’ 한국투자증권 특판 RP 완판
4경영권 승계 자금 논란 불식? '3.6조→2.3조' 한화에어로, 유증 줄인다
5비트코인, 블랙먼데이 딛고 소폭 반등…1억1800만원대로 올라
6신한은행, 전역장교 30여명 신규 채용한다
7어니스트AI, 금융규제 샌드박스 통한 '대출 플랫폼' 4월 출시
8금융 AI 핀테크 혜움, 105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9 정부, 21대 대통령 선거일 6월 3일로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