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장·은행권, 시장 경색 해법 논의…은행장 “2금융권 돕겠다”
은행채 발행 최소화…CP·ABCP 매입
김주현 “경제 부담 줄일 방안 고민해달라”

김광수 은행연합회장과 20개 은행장들은 9일 김주현 금융위원장 주재로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재근 국민은행장, 진옥동 신한은행장, 박성호 하나은행장, 이원덕 우리은행장, 권준학 농협은행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은행권은 자금 시장 안정을 위해 은행채 발행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CP·ABCP·전단채 매입 및 환매조건부채권(RP) 매수, 머니마켓펀드(MMF) 운용 규모 유지 등을 통해 자금 시장에 유동성 공급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은행장들은 5대 금융그룹의 95조원 지원 계획 중 90조원이 은행을 통해 집행될 예정이라고 했다. 또한 제2금융권의 크레딧라인 유지에 어려움이 없도록 은행권이 최대한 협조하고, CP·ABCP 등 매입에도 나서는 등 단기자금 시장 안정을 위한 역할을 하겠다고 약속했다.
5대 시중은행의 경우 지난 10월 한 달간 CP·ABCP·전단채 4조3000억원, MMF는 5조9000억원, 특은채와 여전채는 6조5000억원 어치를 매입했다. 이들은 은행 간 자금 조달 경쟁 심화로 제2금융권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지 않도록 시장 상황을 최대한 고려하겠다고 언급했다.
은행장들은 은행권이 국민 부담 경감을 위해서도 노력하겠다면서 자금이 실물 경제와 금융 시장에서 선순환할 수 있게 하고 취약 차주 지원 등에도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김광수 은행연합회장은 “은행권이 개별 회사의 이익만을 생각하다 보면 시장 전체가 원활하게 흘러가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은행들이 금융권에서 가장 넓고 깊게 보고 다른 금융권과 협조해 나가는 상황이라고 생각하면서 관심을 갖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은행권이 은행 산업을 넘어 전체적인 금융시스템을 보면서 시장 안정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김 위원장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시장 금리가 상승하는 것이 불가피하나 은행들이 금리 상승에 대한 대응 과정에서 경제에 부담을 줄일 방안을 고민해달라”고 요청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은행권의 자금 조달 및 운용 지원을 위해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규제 정상화 유예 조치와 예대율 규제 완화 조치를 한 데 이어 증권시장 안정펀드의 출자금에 적용하는 위험 가중치도 기존 250%에서 100%로 하향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김윤주 기자 joos2@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6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7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8'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9"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