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시장 지역별 양극화 심화…원자재값∙금리 고공행진 여파
올해 수도권 6만2000여가구 공급, 작년보다 23%↓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 청약 시장 여전히 활발

올해 들어 기준 금리가 계속 오르고 원자재 가격도 상승하면서 지난해 활기를 띄던 청약 시장이 최근 지역별 온도차가 더욱 커지고 있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 1~9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는 총 6만2066가구를 일반 공급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공급한 8만585가구 대비 약 23% 줄어든 물량이다.
올해 들어 금리·원자재값 인상 등으로 부동산 시장이 조정기에 접어들자 수요자들의 청약 의지가 크게 꺾이면서 아파트를 공급하는 사업자들의 사업 진행에도 제동이 걸렸기 때문이다.
실제 인플레이션으로 아파트 분양가 산정 기준인 기본형 건축비는 올해만해도 2.64%, 1.53%, 2.53%로 3차례나 상승했다. 지난 2일 미국 연방준비제도에서 네 번째 ‘자이언트 스텝’(기준 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결정하면서 한국은행도 오는 24일 6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공급이 대폭 줄면서 청약시장 분위기도 지역별 양극화가 뚜렷해지고 있다. 부동산R114자료에 따르면 강원·충북·충남 등 지방도시와 도 경계선을 마주한 7개 경기 외곽 지역(가평·연천·양평·여주·이천·평택·안성)은 9월까지 1순위 청약 접수 건수는 총 8203건이다. 수도권 전체 접수 건수(35만7451건)의 2.2%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4.8% 대비 절반 이상 감소한 수준이다.
이에 반해 인기 지역들은 시장 조정기에도 높은 성적을 거뒀다. 특히 분양가 상한제 적용 지역은 청약 시장이 여전히 활발했다. 올해 9월까지 수도권 분양 단지들의 1㎜순위 청약 접수량을 살펴본 결과 4만6070건으로 1위를 차지한 ‘힐스테이트 검단 웰카운티’를 비롯해 상위 10개 중 8개가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였다.
박지윤 기자 jypark92@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어차피 안 될 거 같아서 포기했어요"…장기 실업에 빠진 청년들
2숨돌린 코스피, 5일만에 반등 성공…삼성전자 '호실적'
3KT&G, 렉시스넥시스 ‘글로벌 100대 혁신기업’ 3년 연속 선정
4무신사, 중고거래 시장 진출...‘무신사 유즈드’ 올 하반기 오픈
5영천시, 생활인구 50만 명 돌파… ‘다시 오고 싶은 도시’로 각광
6“바르샤가 온다!” 올 8월 대구FC와 맞대결 눈앞
7"녹슨 철길 위, 만개한 벚꽃 아래" 청도 레일바이크 질주!
8영주시 "지역사회를 빛낸 영주시민대상 후보자를 찾습니다"
9“앉아서 주문하고, 걷다 보면 힐링” 경주 대릉원돌담길, 봄나들이 명소 등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