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전기·전자 업종, 정규직·기간제 모두 늘어
삼성전자, 정규직 4453명 증가 기간제 34명 줄어

조사에 따르면 전체 고용인원은 지난해 말 기준 132만9271명에서 올해 9월 말 135만8356명으로 2만9085명으로 2.2% 증가했다. 이 가운데 정규직은 123만5155명에서 124만8998명으로 1.1%(1만3843명) 늘었다. 고용 기간이 정해진 기간제는 8만2744명에서 9만7573명으로 17.9%(1만4829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임원 수는 1만1372명에서 1만1785명으로 3.6%(413명) 늘었다.
기간제 근로자가 극명하게 늘어난 업종으로는 은행이 꼽혔다. 은행지주를 포함한 13개 은행 중 한국스탠다드차타드 은행을 제외한 12개 은행은 정규직을 줄이고 기간제 직원을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고용인원이 지난해 말 기준 8만7271명이었는데, 올해 9월에는 8만4412명으로 3.3%(2859명↓)줄었다. 정규직은 4409명이 감소했지만 기간제는 1518명이 증가했다.
정규직을 가장 많이 줄인 곳은 한국씨티은행으로 3040명에서 2055명으로 985명 감소했다. 이런 와중에도 기간제 근로자는 725명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은행도 상황은 비슷했다. 전체 인원이 1만7083명에서 1만6683명으로 2.3%, 400명 감소했는데, 정규직이 1027명 줄어드는 동안 기간제 근로자는 627명 늘었다. 하나은행은 정규직을 547명 줄이고 기간제 근로자는 31명 늘렸다.
은행 다음으로 정규직이 많이 감소하고 기간제 근로자가 증가한 업종은 자동차 부품업으로 조사됐다. 27개 기업의 지난해 말 전체 고용인원은 16만8092명이었는데, 올해 3분기 말 기준으로는 16만7959명으로 133명(0.1%)이 줄었다. 정규직에서 1854명이 줄어든 반면 기간제 근로자가 1768명 늘었다.
현대자동차는 정규직 1948명이 감소, 기간제는 906명 증가했고 기아차도 같은 기간 정규직 378명이 줄고 기간제 근로자가 225명 늘어났다.
반면 IT·전기·전자 업종은 정규직과 기간제 근로자가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고용인원 28만1503명에서 29만7772명으로 1만6269명(5.8%)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정규직 4453명이 늘리고 기간제는 34명 줄였다. LG이노텍은 정규직 1847명, 기간제 1520명이 증가했다. LG디스플레이 2229명(정규직 1777명·기간제 452명)와LG에너지솔루션 1151명(정규직 1090명·기간제 61명), 삼성전기 587명(정규직 369명·기간제 218명)도 정규직과 기간제 근로자를 모두 늘린 기업으로 조사됐다.
한편 지난해 말부터 올 9월말까지 대기업 내 여직원들의 비중은 25.7%로 지난해 말 대비 0.1% 증가했으나 대부분 기간제 근로자 인원이 증가하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