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대용 장바구니 등 다회용품 매출 50%↑
대나무 칫솔, 샴푸바 등 폐기물 줄이는 상품도 인기

특히 일회용 비닐봉지를 대체하는 에코백(78%)과 휴대용 장바구니(76%) 증가세가 눈에 띄었다. 플라스틱 빨대 대체재로 떠오른 스테인레스 빨대(34%)와 음료를 저을 수 있는 머들러(22%) 판매도 늘었다.
이 외에도 플라스틱 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대나무 칫솔(133%)과 샴푸바(122%), 무라벨 생수(25%)의 매출 증가도 두드러졌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기간 일회용품 사용이 잦아지면서 이에 문제 의식을 느낀 사람들이 많아진 점이 소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위메프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일회용품 제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퍼지며사회용품인 친환경 빨대와 장바구니 판매가 늘었다”라며 "제도적인 이슈가 더해지며 관련 상품의 판매는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믿을 건 金밖에 없다" 4000달러 돌파…지금 사도 될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쿠시♥비비엔, 9년 열애 결실… “10월 11일 결혼” [공식]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강남도 아닌데 20억?…"지금 아니면 집 못 산다" 발칵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해킹 사태 속출…투자업계, 보안 스타트업 '큰 장' 기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에스티팜, 올리고 치료제 상용화 훈풍 타고 ‘수주 잭팟’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