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어쩌나...치솟는 물가 속 화폐 가치 '와르르'
IMF 구제금융 조치 후 달러당 파운드화 '뚝뚝'
소비자물가지수 20% 돌파...'우크라 전쟁' 직격타

11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현지 외환 시장에서 이집트 파운드화는 1달러당 30파운드선에서 거래됐다. 30파운드는 전날보다 환율이 약 7% 이상 상승한 수치로 화폐 가치가 더 하락한 셈이다.
이같은 화폐 가치 폭락은 이집트 정부가 IMF에 30억 달러 추가 구제금융을 받는 조건으로 환율 유연성 유지를 약속한 데 따른 충격으로 풀이된다.
이집트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물가가 급등하고 외화 유출이 가속화되자 지난해 3월 IMF에 자금 지원을 요청한 바 있다. 이들은 1580억 달러(약 227조원)에 달하는 외채 상환과 곡물 구매, 자국 통화 방어 등을 위해 달러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집트는 지난 2011년 이후 IMF에 두 차례나 구제금융을 받은 바 있다. 2016년에 120억 달러를 지원 받았고 2020년에도 80억 달러를 요청했다.
현재 이집트는 식료품 물가가 두 배로 뛰는 등 치솟는 인플레이션에 시름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이집트의 전체 물가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18.7% 수준으로, 5년 만의 최고치를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도 21.9%에 달했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달러 강세 여파를 그대로 맞은 셈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디저트 좋아서 시작한 도레도레...250억원대 브랜드가 되다
2‘관세 충격’ 미국 증시 5년 만에 최대 폭락
3尹 '탄핵'되면 오른다더니…코스피 '외국인 투매'에 파랗게 질렸다
4안전자산 ’금‘도 팔았다…글로벌 증시 패닉셀에 금값 ‘뚝’
5"소맥 대신 위스키 먹자"...주류업계, 니치 마켓 집중 공략
6'진로와 새로, 이제 우리도 효자'...주류업체 메인 넘보는 서브 브랜드의 반란
7“교육은 종합예술과 비슷” 기술·트렌드 모두 잡는다
8‘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키워드는 ‘친환경’…입장권 판매 여전히 저조
9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