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급호텔’ 대신 ‘정동교회’…범 현대家 자녀들, ‘교회 예식’ 고집하는 이유
정몽규 HDC그룹 회장 장남, 11일 치과의사와 결혼
장소는 범 현대가 전통 살려 정동제일교회에서
고 정주영 명예회장과 변중석 여사 유지 받들어

(왼쪽부터 시계방향) 정동제일교회 내부, 정준선 KAIST 교수,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부인 정지선씨의 장녀 진희씨 결혼식 모습. [사진 연합뉴스, KAIST 홈페이지)
재계에 따르면 정 교수는 11일 서울 중구 정동제일교회에서 치과의사인 김모씨와 결혼식을 갖는다. 정 교수는 정몽규 회장의 장남이자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넷째 동생인 ‘포니 정’ 고 정세영 현대산업개발 명예회장의 장손이다. 그는 지난 2021년 만 29세 나이로 KAIST 교수로 임용돼 화제가 됐다.
두 사람이 화촉을 밝히는 정동제일교회는 현대가 사람들이 결혼식장으로 자주 선택한 장소다. 특히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과 정의선 회장 부부에 이어, 지난해 치른 장녀 진희씨 결혼까지 3대가 같은 곳에서 식을 올렸다. 정몽근 현대백화점그룹 명예회장과 정몽우 전 현대알루미늄 회장, 정몽준 명예이사장도 이 교회에서 백년가약을 맺었다.

특히 고 변 여사는 재벌 부인임에도 ‘재봉틀 한 대, 장독대 하나’로 평생을 검소하게 살면서 현대가의 안방을 지킨 인물이다. 정 명예회장 부부는 생전에 자녀들에게 가급적 결혼식은 정동제일교회에서 열 것을 권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만큼 역사적 의미가 깊은 곳이기도 하다. 정동교회는 우리나라 최초의 개신교회당으로 19세기에 지어진 여일한 건물이다. 최초로 예배당 결혼식이 치러진 곳이자 120년 동안 고딕 양식을 보존하고 있다. 정동교회에서의 결혼식은 교인에 한해서만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 관계자는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현대그룹 등이 속한 범현대가 2,3세 들은 재벌 가문 중에서도 유독 일반인과의 결혼이 많다”면서 “평소 검소하고 소박한 가풍을 유지했던 정 명예회장의 뜻이 이들의 만남부터 결혼식 장소에도 반영된 결과”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2“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3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4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5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6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
7오밤중에 용산 노후 아파트 천장 붕괴…20kg 콘크리트 덩어리 ‘아찔’
8‘벼랑 끝’ 고려아연 핵심 기술진 “영풍·MBK 무법질주 막아달라”
9CJ올리브영, '임차 건물' 아예 인수 나선다...'6000억원대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