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권도형, 빼돌린 비트코인 현금화…8개월간 1억달러 인출”
- 스위스은행 통해 작년 5월부터 현금화
 美 SEC “비트코인 1만개 빼돌려 인출”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SEC의 발언을 인용해 권 씨가 테라 생태계에서 비트코인 약 1만개를 빼돌려 스위스은행을 통해 예치한 뒤 현금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SEC에 따르면 권 씨가 지난해 5월부터 주기적으로 비트코인을 현금화해 스위스은행에 예치했고, 예치한 자금 중 일부를 현금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비트코인 1만개는 이날 현재 가격(2만4600달러) 기준 2억4600만달러(약 3200억원) 규모다. 권 씨는 지난해 6월부터 8개월간 스위스은행에서 1억달러(약 1300억원) 이상의 현금을 인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SEC는 전날 권 씨와 테라폼랩스를 증권관리법 위반 등의 혐의로 정식 기소했다. SEC는 법원에 제출한 소장에서 “권 씨와 테라폼의 계략으로 미국 투자자들은 최소 400억달러의 시장 가치 손실을 입었다”며 “권 씨가 미국 투자자들을 반복적으로 오도했다”고 지적했다.
거버 그루왈 SEC 집행국장은 “테라의 생태계는 탈중앙화하지도 않았고 금융도 아니었다”며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에 의해 뒷받침된 단순한 사기였을 뿐”이라고 말했다. 이어 “권 씨와 테라폼랩스는 LUNA, UST에 대해 공정하고 투명한 공시가 제공되지 않았다”며 “투자자들이 막대한 손실을 입기 전 허위 및 오해 소지가 있는 진술을 반복하며 사기를 저질렀다”고 지적했다.
한국 검찰도 권 대표의 시세 조종 혐의를 추적하고 있다. 권 대표는 테라가 실제 자산 가치와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이며 가치 변동성이 최소화됐다고 홍보해왔지만, 검찰 조사에 따르면 권 씨가 특정 가격에 맞춰 테라의 시세 조종을 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검찰은 지난해 9월 권 씨에게 자본시장법 위반 등의 혐의로 구속영장을 발부했지만, 권 씨의 소재지가 불분명해지자 그의 여권 효력을 박탈한 바 있다. 지난달에는 해외 도피 중인 권 씨의 행적을 쫓기 위해 세르비아가 위치한 발칸반도를 방문하기도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비혼시대 역행하는 ‘종지부부’... 귀여운 움이, 유쾌한 입담은 ‘덤’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0/02/isp20251002000123.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티움바이오, 美 SITC서 'TU2218' 임상 2상 중간 데이터 공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 ‘보플2’ 최립우, 12월 첫 솔로곡 발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4조 규모’ GPU 공급 약속한 젠슨 황…“韓 ‘AI주권국’될 것”(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회삿돈으로 샴페인에 에펠탑 관광”…과기공 산하 VC 해외출장 논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펩트론, 파트너사 LG화학 업고 안정적 현금창출원 확보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