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전국 30분 배송시대 열린다”...정부, 2027년까지 드론 택배 활성화

국토부,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방안 발표
AI·빅데이터 기반 전국 당일배송 체계 구축

드론.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정부가 오는 2026년 로봇 배송을 추진하고, 2027년까지 드론 배송을 상용화하기로 했다. 또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반 전국 초단시간 배송(30분~1시간) 구현을 위해 도심 내 주문배송시설(MFC)의 입지를 허용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20일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포함한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초일류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새로운 성장전략으로 ‘신(新) 성장4.0 전략’을 발표하면서 구체적인 도전 과제로 3대 분야 15대 프로젝트를 선정한 바 있다.

이번 안건은 신(新) 일상 분야의‘차세대 물류’프로젝트에 대한 내용으로 현 정부 국정과제의 구체적인 추진전략을 담았다. 정부는 국·내외 정책여건을 고려해 우리 물류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끌어올려 신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새로운 성장전략을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우선 오는 2026년 로봇 배송이 이뤄지고, 2027년 드론 배송 조기 상용화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민간의 기술 개발 및 실증을 지원하고, 물류 전용 테스트베드를 조성한다. 무인 배송 법제화와 안전기준 마련 등 신기술의 안착을 위한 제도적 기반도 단계적으로 마련한다. 물류뿐만 아니라 플랫폼, IT 등 여러 분야의 기업이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스마트 물류 발전협의체(가칭))를 구성해 사업화 모델을 발굴하기로 했다.

AI·빅데이터 기반 전국 초단시간 배송(30분~1시간) 구현을 위해 도심 내 주문배송시설(MFC)의 입지를 허용한다. MFC는 주문 수요를 예측, 재고 관리를 통해 주문 즉시 배송가능한 시설을 말한다.

민간의 낙후된 물류창고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민간의 첨단 물류기술 연구·개발 지원도 강화할 예정이다. 화물차 자율 주행 상용화에도 적극 나선다. 연내 자율주행 화물차가 주행 가능한 시범운행 지구를 지정하고, 내년까지 안전기준을 마련한다.

2027년까지 기존 도시철도를 활용한 지하 물류운송 시스템을 구축하고, 물류 전용 지하터널에 대한 기술개발도 추진한다. 콜드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온·습도 등 운송 환경에 민감한 화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민간 기술 개발에 대한 세제 지원 등을 추진한다.

도심 내 물류용지 부족으로 인한 물류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도심지역에도 도시첨단물류단지 등 물류 거점을 조성한다. 신도시를 개발할 경우 개발사업자가 사전에 생활 물류시설 용지를 확보하도록 할 예정이다. 도심 인근지역에는 고속도로, 철도부지 등 유휴부지를 활용해 부족한 물류 인프라를 확충한다.

인천공항과 신공항에 첨단 물류인프라를 조성하고, 스마트 항공 화물조업체계도 구축한다. 기존 화물터미널을 자동화·디지털 기법을 도입한 스마트 터미널로 순차적으로 개조하고 자율주행 차량, 웨어러블 조업 장비 등을 도입한다. 비수도권 국가 물류단지는 중앙도시계획위원회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개발제한구역 해제 가능 총량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국제 물류거점 조성을 위해서 '국가 스마트 물류 플랫폼'을 도입한다. 통합계획을 통해 각종 물류·제조시설을 구축하고 물류진흥특구를 도입해 규제를 완화하는 제도다. 물류 정보를 통합해 육·해·공 물류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민간에 개방해 기업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아울러 화물차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물류 시설 인근 '교통안전관리 구역' 지정, 도로변 물류 전용 조업공간 조성도 추진한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가 경제를 이끄는 핵심산업으로 성장한 물류산업이 우리나라의 초일류 국가 도약에 일조할 수 있도록 이번 대책을 마련하였다”라며, “물류산업의 새로운 혁신을 통해 국민의 삶이 더욱 편리해지고, 우리 기업이 세계로 나아감과 동시에 국가 경제가 한층 더 성장하고 도약할 수 있도록 대책 추진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불닭, ‘매운 강도 심했나’…덴마크 리콜에 검색량 폭주

2테슬라 방전에 40도 폭염 속 20개월 아기 갇혀…“외부서 열리지 않았다”

3서울 아파트 1채, 지방 아파트 3채보다 더 비싸

4“의사 선생님, 삶이 너무 덧없습니다”…나는 이렇게 답했다

5‘대박 행진’ 게임 ‘나혼렙’으로 본 IP 확장성

6하이브의 큰 그림…아티스트 대신 ‘스토리 IP’에 집중

7IP 확장의 힘…‘美 상장’ 마지막 퍼즐 맞춘 네이버웹툰

81125회 로또 1등 ‘6·14·25·33·40·44’

9범의료계 특위 첫 회의…의정협의 참여 가능성 대두

실시간 뉴스

1불닭, ‘매운 강도 심했나’…덴마크 리콜에 검색량 폭주

2테슬라 방전에 40도 폭염 속 20개월 아기 갇혀…“외부서 열리지 않았다”

3서울 아파트 1채, 지방 아파트 3채보다 더 비싸

4“의사 선생님, 삶이 너무 덧없습니다”…나는 이렇게 답했다

5‘대박 행진’ 게임 ‘나혼렙’으로 본 IP 확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