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아이가 열이 나요”…‘챗GPT’로 만든 인공지능 챗봇에 물어보니
- 굿닥, 챗GPT 인터페이스 기반 인공지능 챗봇 출시
질문에 맞는 솔루션 제공…“서비스 친숙도 높일 것”

새로운 챗봇은 굿닥 애플리케이션(앱)의 건강 AI 서비스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건강 관련 질문을 하면 인공지능이 1초 이내 대답한다.
굿닥 관계자는 “인공지능이 즉각 답변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고 빠르게 챗봇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챗GPT는 미국의 스타트업 오픈AI(OpenAI)가 출시한 대화형 AI다. 초기 모델인 데다 출시된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사용자와 막힘없이 대화하는 AI로 인기를 끌고 있다.
챗GPT는 일반 대중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사용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출시 5일만에 하루 이용자가 100만명을 넘겼고, 두 달이 지나선 1000만명으로 늘었다.
굿닥은 AI 챗봇을 활용해 진료 연계성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AI가 사용자의 질문에 우선 대답한 이후 답변이 충분하지 못하면 ▲비대면 진료 ▲클리닉 마켓 ▲병원 예약 등 굿닥 앱 내 대면 진료와 연결해주는 방식이다.
임진석 굿닥 대표는 “사용자들은 기존에 사용하던 굿닥 앱으로 새로운 챗봇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며 “이번 챗봇은 사용자의 질문에 바로 답변하는 만큼 AI가 의료 서비스의 보편성과 친숙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굿닥은 국내 의료 AI 스타트업으로 2012년 설립됐다. 회사는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해왔으나, 코로나19가 유행한 동안 비대면 진료로 서비스를 확장했다.
주력 제품은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해 가장 가까운 병원과 약국을 검색하고 예약과 접수, 사후 관리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앱이다. 굿닥은 전국 7만여 개 병·의원과 제휴를 맺고, 2만여 개 약국의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K리그 득점 1위' 전진우, 대표팀 낙마..까닭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블랙핑크 완전체 공연에 팬들 불만 속출,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공원 산책하던 시민 습격한 오소리…`캣맘 탓` 지적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산한 회사채 시장… 7년물 발행하는 HD현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유럽 동정적 사용은 ‘효과 입증’ 필수…젬백스, 알츠하이머 임상2상 성공 청신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