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아직 2만대 남았다”...식지 않는 쌍용 토레스 열풍
- 쌍용차 대표 모델 티볼리→토레스 교체
정통 SUV 디자인·가격 경쟁력 등 인기 요인

21일 업계에 따르면 쌍용차 토레스의 백오더(출고 대기) 물량은 약 2만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쌍용차 토레스는 지난해 7월 국내 공식 출시된 중형 SUV다. 1.5ℓ 가솔린 싱글터보 엔진과 3세대 아이신 6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돼 최고출력 170마력, 최대토크 28.6kg·m의 힘을 낸다. 연비는 11.1~11.2km/ℓ 수준이며, 제3종 저공해차 인증을 받아 혼잡 통행료 등의 이용료를 최대 60%까지 감면받을 수 있다.
토레스는 쌍용차의 핵심 모델로 자리매김한 상태다. 출시 전 사전계약이 3만대 이상 누적되며 국내 소비자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 쌍용차는 1년 만에 근무 방식을 주간연속 2교대로 전환했다. 토레스의 백오더 물량은 지난해 4분기 기준 6만대에 달할 정도로 꾸준한 관심을 받았다.
실제 내수 판매 실적도 준수했다. 토레스는 국내 출시 첫 달(2022년 7월) 2752대가 팔린 데 이어 8월 3637대, 9월 4685대, 10월 4726대로 매월 성장세를 기록했다. 11월 판매 실적은 반도체 이슈 등으로 다소 감소했지만 올들어 회복세로 재차 전환했다. 특히 토레스는 지난 한 달(1월) 간 5444대가 팔리며 2015년 티볼 리가 세운 월 최다 판매 실적(5237대)을 넘어섰다. 쌍용차 창사 이래 단일 차종 월 최대 판매 기록이다. 가솔린 단일 모델로 거둔 실적이라는 점에 의미가 크다.
올해 쌍용차는 토레스의 파워트레인을 더욱 확장하고자 한다. 최근 하이브리드 LPG 모델을 선보인 데 이어, 올 하반기 중으로 토레스 기반 순수 전기차(프로젝트명: U100)도 출시할 계획이다.

토레스 디자인은 정부로부터 인정을 받기도 했다. 2022 굿디자인 어워드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한 것이다. 굿디자인 어워드는 외관부터 기능, 재료, 경제성 등을 종합 평가해 국가 디자인 경쟁력 제고 및 국민의 삶 향상에 기여한 우수 디자인 상품에 부여된다. 굿디자인 측은 토레스 디자인에 대해 “정통 SUV 특징을 살리면서 새로운 트렌드를 고려해 디자인된 외관, 간결한 인터페이스 등이 돋보인다”고 평가했다.
토레스의 또 다른 인기 비결은 경쟁 모델 대비 저렴한 판매 가격이다. 토레스 가솔린 모델의 판매 가격(개별소비세 5% 적용 시)은 2800만~3080만원 수준이다. 가성비 중형 SUV로 잘 알려져 있는 르노코리아자동차의 QM6 가솔린(2779만~3544만원)과 비교하면 훨씬 저렴하다. 최근 추가된 토레스 하이브리드 LPG 모델의 가격 역시 3130만~3410만원으로 QM6 가솔린의 판매 가격보다 낮다.
업계 관계자는 “싸고 좋은 물건은 없다. 토레스도 마찬가지”라며 “고급스러운 소재 등이 쓰인 것은 아니지만 가격 대비 상품성, 고객들의 디자인에 대한 요구를 잘 반영했기 때문에 지금까지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쌍용차는 지난해 ▲판매 11만3960대 ▲매출 3조4233억원 ▲영업손실 1120억원 ▲당기순손실 601억원의 경영 실적을 달성했다. KG그룹 가족사 편입과 토레스 등 주력 모델의 판매 상승세에 힙임어 손실 규모가 지난 2021년 대비 크게 개선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180배 폭등" 아이유가 불렀더니 일어난 놀라운 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키움, 프로야구 발전 저해 행위 중단하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영끌 후폭풍 무서워”…고가 아파트 포기하는 계약자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미분양에 발목 잡힌 대방이엔씨, 불어난 미수금에 차입 부담 과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보존, 비마약성 진통제 본격 판매…5년 내 매출 1000억 정조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