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軍부대 급식, 누가 먼저 선점하나”...마진 적어도 ‘빅4’ 군침 흘리는 까닭

[불붙은 ‘짬밥’ 경쟁]② 장병 급식에 공들이는 기업들
군수사업 비즈니스 박람회에 출동한 급식 기업 총수들
연간 1조2000억원 軍시장, 식수 정해진 안정적인 수익 창출 가능

군 급식 부실 논란 이후 국방부는 병영급식 질 향상을 위한 혁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라예진 기자] #지난해 9월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군수사업 비즈니스 박람회 ‘DX 코리아(DX KOREA)’에 군복을 입은 사람들 사이에 유명 기업 총수들이 출동했다. 행사에 참석한 총수들은 구지은 아워홈 부회장, 이효율 풀무원 총괄 최고경영자(CEO), 정성필 CJ프레시웨이 대표 등으로 모두 급식사업을 영위하는 경영인이었다. 이들은 자사 홍보부스를 살피고 군 관계자들에게 제품을 홍보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였다.

지난해 장병 급식 부실 논란이 온라인상에서 확산되자, 국방부가 군 급식체계 혁신사업을 발표했다. ‘더 좋은 병영식당’을 약 한 달간 시범 운영한 후 2025년까지 중대급 이상 전 부대 약 1500여 곳을 대상으로 더 좋은 병영식당을 운영하고 조리환경을 개선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여기에 군납 식자재 경쟁입찰의 비율을 2023년 50%, 2024년 70%, 2025년 100% 등으로 늘릴 것으로 밝히면서 식자재 기업들의 짬밥 전쟁 서막이 올랐다. 

새 상표권 출원하고 해외 군부대 급식 제공
구지은 아워홈 부회장(앞줄 오른쪽)이 군 관계자들에게 자사 맞춤형 서비스와 식자재 제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아워홈]
군납 전쟁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기업은 현재 국내 급식시장 ‘빅 4’로 꼽히는 삼성웰스토리, 아워홈, 현대그린푸드, CJ프레시웨이가 있다. 군 급식 위탁사업은 업계 숙원사업으로 통한다. 삼성웰스토리는 지난 2011년 당시 삼성에버랜드 기업명으로 위탁급식 시범사업에 선정돼, 대구 공군 11전투 비행단에 식자재를 공급하고 270종 신규 메뉴를 개발하며 높은 만족도와 예산 절감을 기록하는 등 성과를 나타나냈지만 기존 군납업체 반발에 밀려 사업에서 물러난 바 있다. 다시금 ‘기회’를 얻은 기업 입장에서는 군납 사업은 놓치고 싶지 않은 황금알 시장인 셈이다. 

아워홈은 지난해 10월 군부대 식자재 전문 브랜드인 ‘오로카’(OHROKA)의 상표권을 출원하는 등 본격적으로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오로카’는 아워홈의 영문 약자이면서도 급식 및 식자재 컨설팅 서비스를 의미하는 ‘OH’와 우리나라 육군을 의미하는 ‘ROKA’(ROK Army)가 합쳐진 것으로 풀이된다.

로고 이미지 안에는 군인이 경례를 하는 듯한 모습도 더해졌다. 아워홈은 이와 유사 브랜드로 ‘운영’(Operation) ‘위생’(Hygiene) ‘메뉴 및 조리’(Food) ‘맞춤제조’(Order made) ‘공간디자인’(Design space)의 영문 앞 글자를 더한 급식 컨설팅 서비스 ‘오포드’(OHFOD)를 운영하고 있다. 

아워홈 관계자는 “아워홈은 2만여 개에 달하는 레시피를 통해 장병들의 식사 만족도와 병영식당 운영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고 자부한다”며 “수십 년간 축적된 급식 운영 노하우, 업계 최고 수준의 제조∙물류∙R&D 인프라를 바탕으로 ‘더 좋은 병영식당’을 만드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 군부대 급식을 제공하며 군 급식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기업도 있다. 현대그린푸드는 지난해 여름부터 현재까지 아랍에미리트 아크부대에 급식을 제공하고 있다. 현대그린푸드는 경쟁 입찰을 통해 해당 부대 급식 사업을 따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현대그린푸드는 지난해 9월 전역예정인 조리특기병 100명을 초청해 채용설명회를 진행하는 등 채용을 앞세워 군과 협력관계를 다지고 있다. 

비교적 마진 적지만 안정적 고정 수익 노려 

저마다 군 과의 인연을 내세워 짬밥 시장을 잡기 위한 경쟁을 벌이는 데는 미래 시장을 먼저 선점하기 위한 작업이 깔려 있다는 게 업계의 해석이다. 출산 인구가 감소하고 급식 시장이 정체되면서 식자재 업체들에게 군부대 식자재 납품은 놓칠 수 없는 미래 먹거리가 됐다는 설명이다. 마진은 낮더라도 군부대 만큼 안정적인 고정 수익 확보가 가능한 곳도 없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군 급식 민간위탁이 100% 전환되기 전에 미리 시장을 선점해 두는 게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면서 “가뜩이나 코로나 사태를 겪으면서 들쭉날쭉한 기업과 여행지 급식 수요를 경험했기 때문에 어떠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식수를 보장하는 군부대 급식 사업에 매력을 느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앞으로 시장이 더 커진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국방부는 군부대 급식에 대한 경쟁입찰 비율을 2025년까지 순차적으로 올리면서 시장을 개방하기 때문에 업계는 차츰 급식 위탁 사업에 대기업 참여 기회가 열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군 급식 식자재 시장 규모는 연간 1조2000억원으로 추산되는데 시장이 민관에게 100% 열리면 관련 기업에게는 새로운 수익 창출 1조원 시장이 펼쳐지는 것이다.  

다만 현재까지는 군부대 민간단체급식 업체 위탁 운영에 ‘대기업 참여 제한’이 걸려있다. 이 때문에 국내 대형 급식사업 기업들은 가공식품 위주의 식재료를 일부 유통하는 것에 그친다. 또 경쟁입찰 구조로, 최저가 경쟁을 벌이고 사업을 수주해 비교적 마진이 낮은 것도 군부대 시장의 아쉬운 점이다. 

급식업계 관계자는 “국내 급식 기업들의 최근 움직임은 현재의 수익성 보다 미래를 위한 투자라고 보는 것이 합당하다”며 “군부대 특성상 보안과 안정적인 식재 조달 및 보관이 중요한 만큼 입찰 자격이 점차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한 대기업까지 포함하는 쪽으로 확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킹산직’ 500명 추가 채용 제안...노조 달래는 현대차

2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투쟁 방식 전환”

33분기 전기요금 인하 없다...연료비조정단가 현행 유지

4제2의 도약 꿈꾸는 아워홈...기업공개 추진한다

5최태원 SK 회장, 내일 미국행...AI·반도체 점검

6손정의 “인간보다 1만배 똑똑한 AI 시대 온다”

7이노그리드, 초유의 ‘상장 승인 취소’…“파두 사태와는 또 다르다”

8연타석 홈런 친 넷마블…하반기에도 신작 러시

9Life’s Good!…LG전자 브랜드 가치, 세계에 ‘미소’ 전파

실시간 뉴스

1‘킹산직’ 500명 추가 채용 제안...노조 달래는 현대차

2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투쟁 방식 전환”

33분기 전기요금 인하 없다...연료비조정단가 현행 유지

4제2의 도약 꿈꾸는 아워홈...기업공개 추진한다

5최태원 SK 회장, 내일 미국행...AI·반도체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