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그레 지분 ‘0’…오너 3남매, ‘제때’로 제때 승계할까
[빙그레 ‘제때’ 앞으로]② ‘제때’ 승계 발판되나
제때, 빙그레 지분 1.99%…지분 확보 최대 과제
배당 확대·승계 실탄 확보…IPO 수순이란 시각도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빙그레가 오너 가족회사인 ‘제때’를 활용해 경영권 승계 기반을 다지고 있는 모양새다. 제때가 매년 덩치를 키우고 배당 규모를 확대하는 등 승계 지렛대 활용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는 게 업계의 주된 해석이다. 올해 빙그레 김호연 회장의 장남인 김동환씨가 상무에서 본부장으로 승진하고 차남인 김동만씨가 해태아이스크림 전무로 입사하면서, 이러한 관측에 더욱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제때’ 활용 승계 발판...액면분할에 배상 확대 지속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빙그레의 최대주주는 김호연 회장(36.75%)이며 특수관계자를 포함한 지분율은 40.89%이다. 현재 오너 3세들은 빙그레 주식을 단 1주도 갖고 있지 않다. 대신 제때를 통해 빙그레 주식 2% 가량을 간접적으로 가지고 있다. 제때는 빙그레 지분 1.99%를 보유하고 3대 주주에 올라있다.
현재 제때의 지분율은 장남인 김동환 씨가 지분 33.34%로 최대주주에 올라있고, 장녀 정화 씨와 차남 동만 씨가 나머지 지분을 33.33%씩 갖고 있다.
매년 배당 확대 기조를 이어가고 있는 것 또한 3세들의 승계 자금 확보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실제 제때의 배당금은 매년 늘어나고 있다. 최근 5년 간 제때의 결산배당금 총액은 ▲2017년 7억6078만원 ▲2018년 9억7379만원 ▲2019년 13억3549만원 ▲2020년 19억7875만원 ▲2021년 20억5225만원으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배당 성향 역시 ▲2017년 20.42% ▲ 2018년 28.22% ▲2019년 24,24% ▲2020년 26.87% ▲2021년 45.2%까지 증가했다.
통상 배당금은 승계를 위한 상속·증여세 등 자금 마련에 쓰여진다. 오너 일가가 상속·증여세를 내기 위해 주식담보대출을 받는데 이를 갚기 위해선 배당금을 늘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한 매년 주식 배당을 통해 주식 총수를 늘려오다 2년 전 액면분할을 통해 주식 총수를 대폭 늘렸다. 2021년 5월 총 주식 10대 1 액면분할을 통해 총 684만820주로 10배 가량 확대한 것이다.
앞서 지난 5년 간 제때의 주식 총수는 ▲2017년 27만1708 ▲2018년 34만7785 ▲2019년 말 44만5164 ▲2020년 말 56만5358주에 머물렀다. 2021년 3월 말에는 1만8724주 주식 배당으로 당시 11만8724주가 늘어난 바 있다.
이에 일각에선 제때의 상장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는 비상장기업의 액면분할은 예비심사 청구 전 사전정지작업으로 통한다. 주식의 주당 가격이 너무 높으면 시장에서 주식의 거래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유통에 적합한 수준으로 주식을 나누는 것이다.
지분 승계 과정에서 주가가 높아질수록 경영권 지분 확보에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승계가 마무리될 때까지 낮은 주가를 유지해야한다. 통상 투자 유치 등을 마무리하고 주식 수를 확정하는 수순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상장을 위한 사전준비가 마무리 단계에 이르렀다는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제때가 IPO에 나설 경우 김동환 본부장을 비롯한 오너 3세들은 단숨에 승계 재원 상당분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빙그레 측은 이와 관련해 “실적 개선에 따라 배당 여력도 증가한 것”이라며 “현재 IPO를 계획하고 있지 않다”라고 해명했다.
전문가들은 무리한 경영권 승계 작업을 한다면, 향후 경영권 불안 등의 문제가 생겨 사모펀드의 좋은 먹잇감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배당 확대나 액면분할 움직임 등은 지배구조 차원에서 경영 승계, 지분 물려주기 등을 위한 고전적인 방식으로 사용돼 왔다”며 “당장의 기업 규모와 가치를 올리면서 계속 성장할 수 있는 모멘텀을 만들 수는 있지만 재무·회계 투명성이 확보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승계를 통해 기업 가치가 올라가거나 주주 가치가 제고된다면 좋겠지만 일반적으로 경영 능력이 검증되지 않은 상황이 대부분”이라면서 “이 경우 경영상에 있어 조금이라도 문제가 생긴다면 자칫, 행동주의 노선을 표방한 사모펀드의 좋은 먹잇감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때’ 활용 승계 발판...액면분할에 배상 확대 지속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빙그레의 최대주주는 김호연 회장(36.75%)이며 특수관계자를 포함한 지분율은 40.89%이다. 현재 오너 3세들은 빙그레 주식을 단 1주도 갖고 있지 않다. 대신 제때를 통해 빙그레 주식 2% 가량을 간접적으로 가지고 있다. 제때는 빙그레 지분 1.99%를 보유하고 3대 주주에 올라있다.
현재 제때의 지분율은 장남인 김동환 씨가 지분 33.34%로 최대주주에 올라있고, 장녀 정화 씨와 차남 동만 씨가 나머지 지분을 33.33%씩 갖고 있다.
액면분할에 배당 확대 지속···"무리한 승계는 문제 야기"
보통 오너일가가 승계를 위해 비상장사를 이용하는 관행을 고려할 때, 업계에선 제때가 향후 빙그레 오너일가의 경영권 승계 작업의 핵심 키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경영승계를 위해 지분 확보가 최대 과제라는 점을 비춰보면 자금 확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는 분석이다.매년 배당 확대 기조를 이어가고 있는 것 또한 3세들의 승계 자금 확보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실제 제때의 배당금은 매년 늘어나고 있다. 최근 5년 간 제때의 결산배당금 총액은 ▲2017년 7억6078만원 ▲2018년 9억7379만원 ▲2019년 13억3549만원 ▲2020년 19억7875만원 ▲2021년 20억5225만원으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배당 성향 역시 ▲2017년 20.42% ▲ 2018년 28.22% ▲2019년 24,24% ▲2020년 26.87% ▲2021년 45.2%까지 증가했다.
통상 배당금은 승계를 위한 상속·증여세 등 자금 마련에 쓰여진다. 오너 일가가 상속·증여세를 내기 위해 주식담보대출을 받는데 이를 갚기 위해선 배당금을 늘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한 매년 주식 배당을 통해 주식 총수를 늘려오다 2년 전 액면분할을 통해 주식 총수를 대폭 늘렸다. 2021년 5월 총 주식 10대 1 액면분할을 통해 총 684만820주로 10배 가량 확대한 것이다.
앞서 지난 5년 간 제때의 주식 총수는 ▲2017년 27만1708 ▲2018년 34만7785 ▲2019년 말 44만5164 ▲2020년 말 56만5358주에 머물렀다. 2021년 3월 말에는 1만8724주 주식 배당으로 당시 11만8724주가 늘어난 바 있다.
이에 일각에선 제때의 상장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는 비상장기업의 액면분할은 예비심사 청구 전 사전정지작업으로 통한다. 주식의 주당 가격이 너무 높으면 시장에서 주식의 거래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유통에 적합한 수준으로 주식을 나누는 것이다.
지분 승계 과정에서 주가가 높아질수록 경영권 지분 확보에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승계가 마무리될 때까지 낮은 주가를 유지해야한다. 통상 투자 유치 등을 마무리하고 주식 수를 확정하는 수순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상장을 위한 사전준비가 마무리 단계에 이르렀다는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제때가 IPO에 나설 경우 김동환 본부장을 비롯한 오너 3세들은 단숨에 승계 재원 상당분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빙그레 측은 이와 관련해 “실적 개선에 따라 배당 여력도 증가한 것”이라며 “현재 IPO를 계획하고 있지 않다”라고 해명했다.
전문가들은 무리한 경영권 승계 작업을 한다면, 향후 경영권 불안 등의 문제가 생겨 사모펀드의 좋은 먹잇감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배당 확대나 액면분할 움직임 등은 지배구조 차원에서 경영 승계, 지분 물려주기 등을 위한 고전적인 방식으로 사용돼 왔다”며 “당장의 기업 규모와 가치를 올리면서 계속 성장할 수 있는 모멘텀을 만들 수는 있지만 재무·회계 투명성이 확보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승계를 통해 기업 가치가 올라가거나 주주 가치가 제고된다면 좋겠지만 일반적으로 경영 능력이 검증되지 않은 상황이 대부분”이라면서 “이 경우 경영상에 있어 조금이라도 문제가 생긴다면 자칫, 행동주의 노선을 표방한 사모펀드의 좋은 먹잇감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비트코인, 나흘 만에 하락세 ‘멈춤’…9만7000달러대 거래
29980원 ‘초가성비’…3주 만에 1만5000개 팔린 케이크
3 권성동 “내란·김여사특검법, 국정·여당 마비시키려는 野속셈”
4 민주 “韓대행, 24일까지 특검법 공포않으면 즉시 책임묻겠다”
5마이크론, 韓 ‘HBM 인재’ 잡기 나서…“임금인상·거주비 지원”
6식재료 상승에 치솟는 환율…내년 먹거리 물가 더 오른다
7정용진 “트럼프와 10~15분 심도있는 대화”…韓 기업인 최초
8임지연, 추영우에 고백 후 기절…함께 뛰어내린 까닭은
9유연석, 추상미와 '역대급 서사'…'친자' 진실에 경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