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집 대신 ‘이것’ 살까...상식의 틀 깨졌다[백카(CAR)사전]

단순 이동수단에서 또 다른 생활공간으로
영상 시청부터 게임까지 가능해진 자동차

현대차·기아는 이달부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시네마’ 기능을 제공한다. [사진 현대차·기아]
Benz Patent-Motorwagen, 1886 (Nachbau). Am 29. Januar 1886 meldete Carl Benz sein "Fahrzeug f체r Gasmotorenbetrieb" zum Patent an. Bildnachweis: Daimler AG Benz patent motor car from 1886 (replica). On 29 January 1886, Carl Benz applied for a patent on his "gas-powered vehicle".

자동차 산업은 무서울 정도로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쉴 새 없이 신차가 쏟아지고, 하루가 다르게 기술 수준이 발전합니다. 이 과정에서 각종 사건 사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자동차 관련 정보는 정말 방대합니다. 그래서 나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지식을 모아서 정리한 책인 백과사전처럼 ‘백카(CAR)사전’ 코너를 통해 자동차와 연관된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편집자주]

현대차·기아는 이달부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시네마’ 기능을 제공한다. [사진 현대차·기아]
세계 최초의 자동차로 알려진 페이턴트 모터바겐. [사진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Benz Patent-Motorwagen, 1886 (Nachbau). Am 29. Januar 1886 meldete Carl Benz sein "Fahrzeug f체r Gasmotorenbetrieb" zum Patent an. Bildnachweis: Daimler AG Benz patent motor car from 1886 (replica). On 29 January 1886, Carl Benz applied for a patent on his "gas-powered vehicle".
[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우리가 알고 있던 자동차의 개념이 달라지고 있다. 단순한 이동수단에 불과했던 자동차는 첨단 기술의 발달과 함께 ‘탈 것’ 그 이상으로 진화하고 있다.

자동차(自動車).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자동차는 원동기를 장치해 그 동력으로 바퀴를 굴려 철길이나 가설된 선에 의하지 않고 땅 위를 움직이도록 만든 차를 의미한다. 여기에는 승용차, 승합자동차, 화물자동차, 특수자동차 및 이륜자동차 등이 포함된다.

자동차의 역사는 100년이 훌쩍 넘는다. 세계 최초의 자동차는 1886년 메르세데스-벤츠 창립자 칼 벤츠(Karl Benz)가 발명한 페이턴트 모터바겐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칼 벤츠는 말 없이 달리는 마차를 만들겠다며 자동차 개발에 나선 것으로 전해진다.

그로부터 130여 년이 흘렀다. 이 기간 디젤, 가솔린, 하이브리드, 수소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이 개발됐지만 자동차의 개념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한 세기 이상 탈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던 것이다.

자동차의 개념이 달라진 것은 불과 몇 년 전의 일이다. 전동화, 디지털화, 자율주행 등이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 경쟁력으로 자리를 잡으면서다.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이 ‘소프트웨어 중심의 차’(SDV, Software Defined Vehicle)를 만들겠다고 외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제 자동차는 ‘제3의 생활 공간’으로 정의된다. 바퀴 달린 집, 움직이는 스마트폰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과거 자동차가 얼마나 잘 달리느냐가 중요했다면, 이제는 얼마나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해진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자동차 기업들은 최근 인포테인먼트(정보+오락) 서비스 강화에 힘쓰고 있다.

현대자동차(제네시스 포함)와 기아는 이달부터 대대적인 인포테인먼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실시해 ‘시네마’ 기능을 추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내비게이션 화면으로 왓챠, 웨이브 등 동영상 스트리밍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현대차·기아는 이달부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시네마’ 기능을 제공한다. [사진 현대차·기아]
BMW코리아는 지난달 초 SKT, LGU+, KT 등과 함께 차량용 eSIM 서비스 선보였다. 별도의 물리적인 칩 없이 차량에 내장된 식별칩으로 모바일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이를 활용하면 BMW 시어터 스크린(31.3인치 파노라믹 디스플레이)이 기본 탑재된 뉴 7시리즈는 움직이는 영화관으로 변신한다.

영상 시청 외에도 다양한 일들을 자동차 안에서 할 수 있다. 르노코리아는 지난 3월 TJ미디어와 손잡고 국내 최초의 자동차 노래방 서비스를 시작했다. 테슬라는 영상 시청뿐 아니라 콘솔 게임 등도 별도 서비스로 제공 중이다.

이 같은 자동차의 변신은 미래 모빌리티 시대에 대한 기대감을 한껏 높인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런 변화들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한다. 자동차 안에 있는 시간이 생각보다 많지 않다는 것이 그 이유다.

자동차 공유 플랫폼 쏘카가 최근 진행한 설문조사가 이 같은 주장에 힘을 실어준다. 쏘카에 따르면 10명 중 9명은 하루 자동차 이용 시간이 2시간 미만이다. 이는 전국 운전면허 소지자 12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다. 자차를 소유한 응답자 중 약 70%는 일주일에 10시간도 차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업계 관계자는 “내연기관 시대에는 이동이 자동차의 주된 목적이었기 때문에 체류 시간이 길어질 수 없었다”면서 “전동화, 자율주행 시대가 도래하면서 운전자가 자동차 안에 있는 시간이 더 길어질 것이다. 자동차용 인포테인먼트 등이 중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실제 관련 시장의 전망은 밝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프레시던스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장은 오는 2032년 590억달러(약 79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2배 이상 성장하는 것이다.
현대차·기아는 이달부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시네마’ 기능을 제공한다. [사진 현대차·기아]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충격 실화' 맥주효모, 아군 아녔다?…'건강과 무관' 울상

2대우건설 컨소, 착공보고서 국토부 접수…GTX-B 공사 속도 낸다

3비덴트,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지정…상폐 기로

4“봄바람 휘날리며” 이번주 벚꽃 본격 개화

5‘코인 대통령’ 자처하더니…트럼프 일가, 이번엔 채굴업체 출범

6창업 7년 이하 스타트업이라면 ‘첫걸음R&D’ 노려라…18개월 간 최대 2억원 지원

7경제계 “상법 개정안 재의요구권 행사 다행”

8홈플러스 “채권 변제 최선 다할 것”…금감원 조사에도 ‘성실 응답’ 약속

9"호출하면 달려오는 자율주행 화장실, 상상해 봤니?"...만우절 깜짝 '모빌렛' 등장

실시간 뉴스

1'충격 실화' 맥주효모, 아군 아녔다?…'건강과 무관' 울상

2대우건설 컨소, 착공보고서 국토부 접수…GTX-B 공사 속도 낸다

3비덴트,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지정…상폐 기로

4“봄바람 휘날리며” 이번주 벚꽃 본격 개화

5‘코인 대통령’ 자처하더니…트럼프 일가, 이번엔 채굴업체 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