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교사 극단선택, 타직종보다 높다는 근거있나” 카이스트 교수 2차 가해 논란

이병태 교수 “직종 무관하게 극단적 선택 한다”

이병태 카이스트 경영대 교수가 지난달 31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사회적 문제를 가려서 듣는 비판적 사고'라는 제목의 게시글 [사진 이병태 교수 SNS]
[이코노미스트 마켓in 허지은 기자]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에서 신규 부임한 교사가 극단적 선택을 한 사건을 두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가 “사회적 문제의 원인이 교권의 붕괴 때문인가 하는 의문이 있다”고 발언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병태 카이스트 경영대 교수는 지난달 31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사회적 문제를 가려서 듣는 비판적 사고’라는 제목의 게시글을 올렸다. 

이병태 교수는 “교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무도한 태도가 원인이고 이게 사회적 문제라면 우리는 교사들의 자살이 다른 직종보다 높다는 증거가 필요하다”며 “모든 직종의 사람들이 자살을 한다. 즉, 직종과 상관없이 사람들은 어떤 심리 상태에 이르면 자살이라는 지극히 예외적인 선택을 한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교사가 다른 직종보다 극단적 선택을 많이 한다는 증거가 있다면 (서이초 사건의) 사회적 원인이 ‘교권 붕괴’라는 호들갑이 이해가 되지만 이 죽음이 다른 사례들과 다르다는 증거가 있느냐”고 반문하면서 “정치권과 이해집단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가짜 사회문제를 만들어 낸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보도에 따르면 자진(自盡)한 교사는 특정 학생이나 학부모의 문제로 죽는다는 억울함을 호소한 유언을 남긴 것이 없다고 하는데, 왜 이런 위험한 단정들을 하냐”고 반문했다. 

논란이 일자 이 교수는 “죄송하다, SNS를 접겠다”는 글을 올린 상태다. 

서울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이 학교 1학년 담임이던 A씨(24)가 지난달 18일 오전 학교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타살 정황이 없어 경찰은 A씨가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2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3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

4현대건설, '전 공정 무재해' 47개 협력사에 상금 전달

5쿠키런: 모험의 탑, 글로벌 정식 출시…사전예약자 250만명 돌파

6NH투자증권, 증권사 최초 ‘소비자가 가장 추천하는 브랜드’ 3년 연속 1위

7크래프톤 ‘다크앤다커 모바일’, 한국 게릴라 테스트 3일간 진행

8쿠팡, 로켓프레시 협력사 품질 간담회...하절기 품질 역량 강화

9넷마블 ‘모두의마블2’, 오는 27일 사전체험 시작

실시간 뉴스

1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2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3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

4현대건설, '전 공정 무재해' 47개 협력사에 상금 전달

5쿠키런: 모험의 탑, 글로벌 정식 출시…사전예약자 250만명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