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연말 새로운 시대 열린다...고속도로 돌아다니는 K-자율주행차[백카(CAR)사전]

기아, EV9에 연내 자율주행 레벨 3 ‘HDP’ 탑재 예정
운전대 잡지 않아도 고속도로서 최고 80km로 주행

자동차 산업은 무서울 정도로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쉴 새 없이 신차가 쏟아지고, 하루가 다르게 기술 수준이 발전합니다. 이 과정에서 각종 사건 사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자동차 관련 정보는 정말 방대합니다. 그래서 나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지식을 모아서 정리한 책인 백과사전처럼 ‘백카(CAR)사전’ 코너를 통해 자동차와 연관된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편집자주]

고속도로에서 시험운행 중인 기아 EV9 자율주행자동차. 기아는 연내 최고 80km/h로 주행 가능한 고속도로 주행보조(HDP)를 탑재한 EV9을 선보일 계획이다.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거론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자율주행’(自律走行, Autonomous Driving, Self-Driving)이다. 운전자가 별도로 제어하지 않아도 차량이 스스로 판단해 운행에 나서는 시스템을 말한다.

미국자동차공학회(SAE)에 따르면 자율주행은 레벨 0부터 5까지 총 6단계로 세분화된다. 레벨 0~2까지는 운전자 개입이 무조건적으로 요구된다. 레벨 3부터는 5까지는 운전자 개입의 점진적으로 최소화된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완전 자율주행(운전자 개입이 필요하지 않고, 환경의 제한도 없는)은 레벨 5라고 볼 수 있겠다.

현재 상용화된 자율주행 기술은 우리에게 익숙한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ACC)이다. 미국자동차공학회가 분류하는 자율주행 레벨 2 수준이다. 해당 기능을 사용하면 고속도로 등에서 앞 차와의 간격을 차량 스스로 유지한다. 다만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운전대)에서 손을 뗄 수 없다.

소비자들은 더 나은 기술을 원하고 있다. 제조사는 이에 응답할 준비를 하고 있다. 조만간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자율주행 레벨 2에서 한 단계 더 진화한 레벨 3 기술의 상용화다.

국내에서는 기아가 가장 앞서고 있는 모습이다. 기아는 브랜드 최초의 프리미엄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EV9의 최상위 트림 GT-Line에 고속도로 주행보조(HDP, Highway Driving Pilot) 기술을 탑재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회사 내부의 목표는 연내 상용화 성공이다.

기아에 따르면 HDP는 자율주행 레벨 3 수준의 기술이다. HDP는 고속도로 및 자동차 전용도로 주행 시 사용 가능하다. 운전자가 운전대를 잡지 않아도 차량이 스스로 앞 차와의 안전거리뿐 아니라 차로를 유지한다.

당초 기아는 최대 60km/h 속도로 주행이 가능한 HDP를 개발하려고 했으나 전면적인 계획 수정에 나섰다. 최고 속도 60km/h는 경쟁력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현재 기아는 최대 80km/h 속도로 주행이 가능한 HDP를 테스트하고 있다. 최근 국내 고속도로 위에서 ‘자율주행차 시범운영’이라는 스티커가 부착된 EV9이 자주 포착되고 있는 이유다. 기아는 완벽한 HDP 구현을 위해 2개의 라이다(Lidar) 포함 총 15개의 센서와 정밀지도 및 통합 제어기 등을 EV9에 적용했다.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자율주행 레벨 3를 구현하기 위한 제조사들의 연구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독일의 프리미엄 브랜드 BMW는 최근 관계 당국으로부터 독일 내 자율주행 레벨 3 허가를 승인받았다. 니콜라이 마르틴 BMW 자율주행부문장은 최근 “레벨 3 자율주행 시스템이 연내 7 시리즈에 도입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자율주행 레벨 3 기술을 선보인 곳도 있다. 독일의 메르세데스-벤츠와 일본 혼다 등이다. 다만 관련 기술의 최고 속도가 60km/h에 불과하다. 현재 기아가 최고 속도 80km/h로 개발 중인 HDP보다 한 단계 낮은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래 모빌리티는 전동화 등 친환경과 자율주행 등이 핵심”이라며 “완전 자율주행을 실현하려면 방대한 양의 운행 빅데이터가 필수적이며, 이를 케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와 관련 인프라 등도 완벽히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ESG 실천과 분양 마케팅 혁신의 중심, 팍스디앤엠

2비들아시아, 니어프로토콜 창업자와 ‘오픈소스 AI’ 미디어데이 연다

3보스턴컨설팅그룹(BCG), 역대 최대 매출 달성...크리스토프 슈바이처 CEO 재선임

4"아이폰 50만원 올라?"…관세에 애플스토어 뛰어간 미국인들

5"어차피 안 될 거 같아서 포기했어요"…장기 실업에 빠진 청년들

6숨돌린 코스피, 5일만에 반등 성공…삼성전자 '호실적'

7KT&G, 렉시스넥시스 ‘글로벌 100대 혁신기업’ 3년 연속 선정

8무신사, 중고거래 시장 진출...‘무신사 유즈드’ 올 하반기 오픈

9영천시, 생활인구 50만 명 돌파… ‘다시 오고 싶은 도시’로 각광

실시간 뉴스

1ESG 실천과 분양 마케팅 혁신의 중심, 팍스디앤엠

2비들아시아, 니어프로토콜 창업자와 ‘오픈소스 AI’ 미디어데이 연다

3보스턴컨설팅그룹(BCG), 역대 최대 매출 달성...크리스토프 슈바이처 CEO 재선임

4"아이폰 50만원 올라?"…관세에 애플스토어 뛰어간 미국인들

5"어차피 안 될 거 같아서 포기했어요"…장기 실업에 빠진 청년들